뷰페이지

[박홍환의 시시콜콜] 레미제라블과 변호인, 그다음에는?

[박홍환의 시시콜콜] 레미제라블과 변호인, 그다음에는?

입력 2014-01-15 00:00
업데이트 2014-01-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변이 없는 한 영화 ‘변호인’이 이번 주 관객 1000만명을 돌파한다고 한다. 제18대 대통령선거 1주년 전날인 지난해 12월 18일 개봉했으니 한 달여 만이다. ‘변호인’의 흥행 성공은 그러나 우리 사회의 현실을 고스란히 드러내 주고 있다는 점에서 마냥 감동만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한마디로 착잡하다. 2010년대 중반을 살고 있으면서도 ‘혁명의 시대’인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에 1000만명, 아니 그 이상의 사람들이 감동하는 까닭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이미지 확대
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논설위원
1년 전에도 뮤지컬 영화 ‘레미제라블’을 보면서 감동했다. 대선 당일인 2012년 12월 19일 개봉한 레미제라블은 3시간짜리 뮤지컬 영화로는 이례적으로 580만명이라는 기록적인 관객몰이에 성공했다. 엔딩 장면이 지금도 생생하다. 모든 출연진이 ‘삼색기’를 흔들며 합창하는 ‘그대 민중의 노랫소리가 들리는가?’(Do you hear the people sing?)에 전율하며 속으로 따라 부르는 관객들이 많았다.

1년 차이로 개봉한 두 영화의 흥행 성공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상당수 관객이 야권 지지층인데다 이례적으로 40~50대 중년층을 대거 스크린 앞으로 끌어냈다. 많은 관객들이 영화를 통해 ‘힐링’을 받았다고 고백한다는 점도 닮은꼴이다. 절망 대신 희망을 갖게 됐고, 좌절 대신 의지를 다지게 됐다는 것이다. 레미제라블 엔딩타이틀이 올라간 뒤 불이 켜질 때까지 많은 관객들이 자리에 앉아 눈가를 훔쳤던 것과 마찬가지로 “흐르는 눈물을 주체할 수 없었다”는 변호인 관객들의 관람평이 잇따른다. 특히 영화 변호인에서 주인공인 송우석 변호사(극 중 송강호 분) 가족들이 입주한 아파트의 벽에 새겨진 ‘절대 포기하지 말자’는 글귀는 전혀 다른 소재의 두 영화를 일체화시키는 ‘극 중 장치’라고 할 만하다. 척박한 현실에서도 힘을 뭉쳐 내일을 기약하자는 것과 다름 아니다.

야권 지지층은 대선 직후 레미제라블을 통해 정권교체 실패에 절망하기보다는 새로운 희망을 찾으려 했던 것 같다. 1년 후인 지금은 변호인을 통해 현 정권에 대한 강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듯하다. 대선이 끝난 지 1년이나 지났지만 1000만명, 아니 그 이상의 사람들이 박근혜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변호인이 단순히 ‘노무현 영화’에 그치지 않는 이유다.

정부·여당에 진지하게 묻고 싶다. 그들의 얘기를 들어주고, 그들의 감정을 다독이려는 노력이 부족했던 것은 아닌가. 당당하게 “자랑스러운 불통”이라고 얘기하면 할 말이 없다. 하지만 그들 주장에 담긴 ‘불편한 진실’을 외면한 채 여전히 소통에 인색하다면 우리 사회는 ‘따로국밥’과 마찬가지로 ‘너따로, 나따로’의 위태로운 동거가 지속될 것이라는 점을 영화 변호인에 모여드는 관객들이 웅변하고 있다. 그들은 레미제라블, 변호인에 이어 또 다른 ‘카타르시스’를 찾아낼지도 모른다.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14-01-15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