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조환익 바깥세상] 바깥 세상과의 소통

[조환익 바깥세상] 바깥 세상과의 소통

입력 2012-01-12 00:00
업데이트 2012-01-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환익 한양대 석좌교수·전 코트라 사장
조환익 한양대 석좌교수·전 코트라 사장
정치의 계절을 맞아서 ‘소통’이 제일 큰 화두이다. 그런데 그 소통에 관한 담론들은 전부 안 세상에서 내부적 소통에 관한 이야기들이다. 물론 우리 사회에서 연령계층 간, 소득계층 간, 지역 간 소통 등은 모두 매우 시급하게 풀어나가야 할 과제이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우리에게 중요한 것이 바깥세상과의 소통이다. 이미 한국은 바깥세상과 하루도 소통하지 않으면 유지할 수 없는 나라이다. 숨을 곳도 없고 누가 숨겨 주지도 않는다. 세계 속에 한국의 경제적 위치는 거의 무대 중앙에 와 있고 문화 면에서도 그 진출 속도가 눈부시다.

그만큼 우리의 위상도 높아졌지만 동시에 책임도 무거워졌다. 세계경제의 회복에도 기여해야 하고 지구환경의 보존에도 역할을 해야 하고 우리의 발전 경험과 노하우를 개발도상국에 전수도 해주어야 한다. 여기에서 한국과 바깥세상과의 소통이 정말 잘 이루어져야 한다. 덩치만 키웠지 세계와 소통을 못한 예가 1980~1990년대 일본이고 현재의 중국이다. 일본은 고도의 생산성을 바탕으로 쌓아온 달러를 당시 미국의 록펠러센터 등 부동산 사 모으기에 바빴고, 중국 역시 수출로 벌어들인 돈으로 해외 기업과 광산 사들이는 데 몰두해 있다. 물론 일본이나 중국도 세계를 위해, 특히 개도국에 원조도 많이 하고 투자도 많이 하지만 훌륭한 소통을 하였다고 볼 수 없다. 오히려 개도국들에 ‘경제적 예속이 정치적, 외교적 예속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경계심과 두려움을 떨쳐주지 못한 듯하다. 지난 수년간 국제경제 위기 속 무역통상 분야에서 대약진을 한 나라는 한국뿐이다.

그러니 더욱 바깥세상에서 일본이나 중국처럼 비쳐지지 않으려면 비상한 소통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이는 국가 홍보나 대외 원조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특히 세계 경제의 새로운 동력이 되고 있는 신흥 개도국과의 소통에 획기적인 변화가 있어야 할 것 같다. 정말로 그들을 감동시키고 필요한 무엇인가를 해주어야 하고 마음을 열 수 있게 하는 대화가 필요하다. 다행히 우리는 그들이 배우고 따라 가고자 하는, ‘가난한 나라가 밖으로 나가서 살 길을 찾아온 경험과 노하우’가 있다. 그 역사에는 세계의 어떤 나라도 겪지 못한 드라마가 깃들여 있다.

반세기 전 아시아에서도 가장 늦게 나라의 문을 연 한국은 온갖 멸시와 동정을 받으며 바깥세상을 열어갔다. 그러다 통상 마찰의 회오리 속에서 몰매를 맞기도 하고 국가 부도 직전까지 가서 죽음의 그림자를 느껴본 적도 있었다. 금 모으기 등으로 결집하여 한국경제 업그레이드의 계기를 만들었고, 그 이후 미국발 경제위기로 또 한번 침몰의 위험을 겪었으나 이 역시 이겨내고 이제는 세계 7위의 수출, 세계 9번째의 무역 1조 달러 달성국이 되었다.

일본도, 중국도, 또 구미의 어떤 나라도 경험하지 못한 성공기와 실패기, 반전과 재반전의 실전기가 나름대로 희망을 그려 나가는 개도국들에는 최고의 소통 소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소통으로 고난을 이겨 나온 한국인들의 ‘돕고자 하는 진정성’이 전달될 때 우리는 진정한 선진국 대접을 받게 된다. 그리고 이것이 세계 속에서 조금 앞서가는 나라와 따라가는 나라가 상생발전하는 모습이다.

아프리카에서 행한 고(故) 이태식 신부의 헌신과 희생은 수천만 달러의 현지투자보다도 더 고귀한 소통이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코리안 드림을 갖고 한국에 와서 차별 속에 힘들어하는 외국 근로자들에 대한 따뜻한 마음의 배려 또한 매우 값진 소통의 표현이다. 또한 경제 재앙과 기후 재앙 등으로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겪고 있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우리의 오랜 동반자들에게도 경제적으로 신의를 잃지 않아야 한다. 그들이 좀 어렵다고 해서 오랜 무역 거래나 부품 공급을 갑자기 바꿔 소통을 막아 버리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한다. 이것이 세계경제가 다시 크게 요동치는 이때 한국이 지속 가능하게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2012-01-12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