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하우스푸어에 대한 두 가지 시선/김동현 산업부 기자

[지금&여기] 하우스푸어에 대한 두 가지 시선/김동현 산업부 기자

입력 2013-04-06 00:00
업데이트 2013-04-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동현 산업부 기자
김동현 산업부 기자
‘우리는 중산층’이라는 1990년대 초반 TV 드라마가 기억난다. 월급을 한푼 두푼 모아 겨우 아파트를 한 채 장만해 이사를 온 가정이 이웃들과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였다. 이 드라마에서 주인공들은 빡빡한 살림살이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이 중산층임을 자부하는 이유 중 하나는 자신들이 아파트에 살고 있다는 것이었다. 20여년 전 아파트는 시골 출신 월급쟁이들의 로망이자 중산층 진입의 상징이었다.

그런 아파트가 애물단지가 됐다. 시작은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였다. 잠시 떨어졌다가 다시 오를 것이라는 시민들의 예상은 빗나갔고 5년째 아파트값은 힘을 못 쓰고 있다. 그러는 사이 우리에게 친숙해진 단어가 ‘하우스 푸어’다.

우리 사회에서 하우스 푸어를 바라보는 시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부동산 투기에 편승했던 사람들’이라는 시선이다. 이들은 집값이 앞으로 30~40%가 더 떨어져 서민들이 쉽게 집을 살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나머지 하나는 ‘집 한 채 장만하려다 발목 잡힌 사람들’이라는 시선이다. 이들은 집값이 다시 반등해야 이런 불쌍한 사람들이 구제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하우스 푸어를 하나의 특징을 가진 이들로 바라보기는 힘들다. 수억원짜리 집을 빚을 내 사면서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를 하지 않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아이들을 데리고 2년마다 이리저리 이사를 가야 하는 가장이 빚을 내서라도 집을 마련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닌가?

대부분 월급쟁이들에게 집은 삶의 공간인 동시에 하나뿐인 자산이다. 한국 사회에서 하우스 푸어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은 이를 간과하고 있다. 스스로 하우스 푸어라고 이야기하는 한 40대 가장은 “집값이 다시 팍팍 뛰어야 한다는 말도, 30~40%씩 떨어져야 한다는 말도 다 저주로 들린다”면서 “그냥 더 이상 집값이 떨어지지 않고 은행이자를 내고 손해를 안 보는 정도면 좋겠다”고 말한다. 아마 대부분의 월급쟁이 하우스 푸어들이 갖는 생각일 것이다.

한 선배에게 “집값은 떨어져도, 올라도 문제”라는 이야기를 했다가 “당연한 말씀”이라는 핀잔을 들었다. 하지만 이 당연한 말씀을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는 별로 없다. 집이 삶의 문제라는 것을 우리는 너무 자주 잊고 사는 것 같다.

moses@seoul.co.kr

2013-04-06 26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