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70년 서울 공평동에 있던 고속버스터미널

[DB를 열다] 1970년 서울 공평동에 있던 고속버스터미널

입력 2013-03-15 00:00
업데이트 2013-03-15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고속버스를 운행하려면 반드시 있어야 하는 시설이 매표소와 승하차장을 갖춘 터미널이다. 경인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되고 나서 서울에는 고속버스 회사별로 터미널이 있었다. 1970년대 초 11개 고속버스 업체는 서울에서 모두 8개의 터미널을 각기 운영했다. 공평동(동양고속), 종로2가(삼화고속), 서울역 앞(한진·풍전고속), 저동(유신고속), 후암동(그레이하운드), 양동(광주고속), 을지로3가(속리산관광), 을지로6가(한일·천일·한남고속) 등이다. 을지로6가는 현재의 동대문종합시장 자리다. 사진은 1970년 5월 14일 촬영한 서울 공평동 고속버스터미널 모습이다.

도심 곳곳에 흩어져 있던 터미널은 교통량이 늘어나면서 교통 소통에 큰 방해가 되었다. 또 부지가 좁아 혼잡하다 보니 소매치기와 암표상 등 우범자들이 설쳐 문제가 되었다. 을지로6가 터미널의 경우 근처에 있던 메디컬센터(현 국립의료원)에 입원한 환자들이 경적소리 때문에 잠을 이룰 수 없다는 항의를 받기도 했다. 민원이 끊이지 않자 서울시는 터미널을 옮기기로 하고 강북의 세 곳을 검토했다가 최종적으로 반포로 옮기기로 확정했다. 강남고속버스터미널이 가건물 형태로 문을 연 것은 1976년 9월 1일이다. 그러나 당시 반포나 잠원동 일대는 허허벌판이었다. 승객들은 거의 모두 강북에 거주하고 있어 터미널은 경유지로만 이용됐다. 그러다 강북의 터미널을 강제 폐쇄하고 강남터미널만 이용하도록 하자 승객들은 접근성이 나빠 큰 불편을 겪어야 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3-15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