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68년 나비작전으로 철거된 종삼 골목

[DB를 열다] 1968년 나비작전으로 철거된 종삼 골목

입력 2013-02-25 00:00
업데이트 2013-02-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68년 10월 5일, 속칭 ‘종삼’으로 불리던 서울 종로3가 일대 사창가가 30여년 만에 철거됐다. 종삼의 위치는 종로3가 로터리~돈화문~원남동 로터리~종로4가 로터리~종로3가 로터리를 연결하는 구역 안의 종로 3·4가, 낙원동, 묘동, 봉익동, 훈정동, 인의동, 와룡동, 권농동, 원남동 일대였다. 이날 윤락녀 72명이 마지막으로 보호소에 넘겨짐으로써 250여 가구, 1400여명에 이르던 사창가 여인들이 종삼을 완전히 떠났다. 땅값은 며칠 사이에 배나 뛰었지만, 살길이 막막해진 창녀들은 수용소로 가던 버스 안에서 유리창을 깨면서 난동을 부리기도 했다. 사진은 윤락녀들이 떠난 후 촬영한 종삼 골목 풍경이다.

새벽 5시에 시작된 철거 작전의 이름은 ‘나비 작전’이었다. 나비란 윤락녀(꽃)를 찾는 남성들을 상징하는 말이었다. 사창가를 없애려면 윤락녀를 단속하는 것보다 유객들을 단속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데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나비에 이어서 꽃을 내쫓은 이 작전은 김현옥 시장의 작품이었다. 종삼을 자주 드나들었던 사람들은 글을 쓰는 직업을 가진 소위 ‘먹물’들이었다. 그들 사이에서 종삼은 전쟁이 끝난 뒤 황폐한 사회분위기 속에서 허무감에 빠져 방황하던 영혼을 달래줄 안식처로 미화되었다. 생존한 한 원로 시인은 1950년대의 폐허에서는 명동의 술과 종삼의 여자만이 작가의 고향이었다고 적고 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2-25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