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세계인구 70억 시대/구본영 논설위원

[씨줄날줄] 세계인구 70억 시대/구본영 논설위원

입력 2011-10-29 00:00
업데이트 2011-10-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8세기 영국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만큼 포폄(褒貶)이 엇갈리는 인물도 드물다. 살아생전은 물론 사후에도 마찬가지다. ‘인구론’에서 편 독특한 주장이 줄곧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점에서다.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 비해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는 게 맬서스 이론의 핵심이다. 이로 인해 인류는 기근과 빈곤이란 대재앙을 맞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그는 출산율을 낮춰 인구를 줄이자는 ‘예방적 억제론’을 폈다. 문제는 빈민들에게만 과녁을 맞춰 결혼을 늦추거나 출산을 자제해야 한다는 ‘비인간적’ 주장이란 점이다. 당시 그의 불길한 예언에 놀란 피트 영국 총리는 빈곤층에 대한 생활보조금을 철회해 버렸다. “맬서스 장례식에 참석한 이들 중 일부는 애도하러, 나머지는 정말 죽었는지 확인하러 갔다.”는 은유가 그에 대한 평판을 함축한다.

오는 31일 지구촌은 인구 70억명 시대를 맞는다. 유엔인구기금(UNFPA)은 이런 추계에 맞춰 26일 ‘70억명의 세상, 사람, 그리고 가능성’ 보고서를 내놓았다. 맬서스 출생 직전인 1750년 세계인구는 8억명 수준이었다. 이후 1950년 25억, 1975년 40억, 그리고 2000년 60억명 규모를 찍고 11년 만에 70억명을 돌파한 셈이다. 하지만 맬서스가 우려했던 인류의 파국은 오지 않았다. 그의 예언이 빗나간 것은 무엇보다 농업기술 혁명을 간과한 탓이다. 미국의 헨리 조지 교수는 “매도, 사람도 닭을 먹는다. 다만 매가 닭을 잡아먹으면 닭의 개체 수가 줄지만, 사람이 먹으면 증가한다.”라는 비유로 맬서스 이론을 비판했다.

그렇다고 해서 맬서스의 예측이 100% 틀린 것은 아니다. 선진국에서는 낮은 출산율이 커다란 사회문제이긴 하다. 하지만 아프리카나 서남아시아 등 저개발국을 중심으로 전세계적으론 인구가 여전히 폭증하고 있다. 이런 ‘인구 패러독스’는 빈곤층 출산 억제라는 맬서스의 불공평한 주문과 정반대란 점에서도 퍽 역설적이다. 더욱이 세계인구 70억명 중 15%인 9억 2000만명이 영양실조에 허덕이는 반면 이보다 많은 20%가 비만증을 앓고 있다니, 아이러니 그 자체다.

우리나라는 인구 폭발이 멈춘 데다 끼니 걱정은 면했다는 점에서 맬서스의 비극적 예언에서는 비켜났다. 하지만 신진대사가 안 되는 유기체는 시들어갈 수밖에 없다. 젊은 경제활동인구가 턱없이 부족한 ‘늙은 국가’가 안 되도록 출산율을 높일 획기적 대책이 긴요한 시점이다.

구본영 논설위원 kby7@seoul.co.kr
2011-10-29 2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