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연구부정 근절, 예방책이 중요하다

[사설] 연구부정 근절, 예방책이 중요하다

입력 2006-05-01 00:00
업데이트 2006-05-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학기술부가 연구부정행위를 뿌리뽑으려고 연구윤리와 진실성 확보를 위한 지침을 마련했다고 한다. 우선 국가연구개발과제의 수행과정에서 발생한 엉터리 연구의 근절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우리 학계에서는 연구에 아무 기여도 없으면서 ‘무임승차’와 같은 부당한 공로배분 행위가 예사롭게 저질러져온 것이 사실이다. 연구논문의 대필이나 위조·변조·표절행위도 일상화돼 있다. 그래서 정부가 뒤늦게 지침을 만들어 근절의지를 강력하게 밝혔지만, 실제로 얼마나 효과를 볼 것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이다.

지난해 말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논문조작사건은 엄청난 파문을 일으켰다.20명이 넘는 유명 교수들이 공동저자로 줄줄이 이름을 올렸고, 데이터의 조작과 연구비 남용 등 예상 가능한 연구부정이 총체적으로 드러났다. 국민의 가슴에 대못을 박고 국가의 이미지는 엉망이 되는 등 실로 충격적이었다. 그러나 이 일을 계기로 학계에 자정의지가 확고하게 굳어진 것은 다행이라 하겠다. 연구부정 근절의지가 과학기술계뿐만 아니라 학계 전반으로 확산·실행되기를 기대한다.

연구부정을 막기 위해서는 윤리교육, 고발자 보호, 검증시스템 등을 잘 갖추는 일이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아무리 제도적으로 잘 돼 있어도 관행을 답습하는 연구자가 있는 한 무용지물일 뿐이다. 따라서 일이 터진 뒤에 당사자를 징계하고 연구비를 환수하는 등의 사후약방문식 제재보다는 연구자들이 마음가짐을 올바로 갖도록 예방책에 무게를 둬야 할 것이다. 결국 연구부정은 학문하는 사람들의 개인적 양심에 달린 문제이기 때문이다.

2006-05-01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