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티’ 끝나자 거품 꺼진 테마주

‘파티’ 끝나자 거품 꺼진 테마주

입력 2012-12-27 00:00
업데이트 2012-12-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5개종목서 1조5500억 손실

‘파티’가 끝난 테마주의 거품이 결국 꺼졌다. 올 한 해 증권시장을 달궜던 정치 관련 테마주 투기열풍이 대통령 선거 이후 빠르게 사그라지면서 주가가 최고가 대비 반토막이 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6월부터 지난 21일까지 테마주로 분류된 150개 종목의 주가를 분석한 결과, 주가가 최고가 대비 평균 52.7%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꼭짓점’에 투자해 21일 현재까지 보유했을 때 투자금의 손실을 따진 평가손실률이 가장 큰 종목은 써니전자였다. 안철수 테마주였던 써니전자는 평가손실률이 88.0%나 됐다. 최고가일 때 1억원의 주식을 샀다면 지금 손에 쥔 돈은 1200만원이라는 얘기다.

평가손실률 2위는 문재인 테마주인 바른손으로 87.1% 하락했다. 그 뒤는 일경산업개발(85.6%), 미래산업(84.2%), 우리들생명과학(84.2%) 순이었다.

정책 테마주보다 인맥 테마주의 손실이 더 컸다. 지난 3일부터 21일까지 3주간 대표적인 정치인 인맥 테마주 15종목과 정책 테마주 15종목의 주가 흐름을 살펴본 결과 인맥 테마주는 31.9% 급락한 반면, 정책 테마주는 20.9% 내리는 데 그쳤다. 차기 정부의 정책 실행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6월 1일 총 21조 1000억원이었던 테마주 시가총액은 올 들어 각 종목이 상종가를 치면서 한때 41조 6000억원까지 치솟았다. 이달 21일 현재 시총은 24조 3000억원이다. 최고가에 비하면 17조 3000억원이 사라진 셈이다.

실적과 무관하게 주가가 큰 폭으로 변동하면서 테마주에 투자한 개인투자자들도 큰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 9월 금감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6월부터 올해 5월까지 1년간 테마주 35개 종목 195만 계좌에서 1조 5500억원의 손실이 났다. 주가 변동 폭도 매우 컸다. 테마주의 최저가 대비 최고가 상승률은 평균 302.3%였다. 1000%를 넘는 종목도 써니전자(3146.2%), 에스코넥(1109.7%), 우리들생명과학(1064.2%), 바른손(1044.1%) 등 4종목이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2-12-27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