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LFP 배터리 2026년 생산”…프리미엄도 중저가 시장도 잡는다

LG엔솔 “LFP 배터리 2026년 생산”…프리미엄도 중저가 시장도 잡는다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3-10-25 18:45
업데이트 2023-10-25 18: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분기 영업이익 7312억원 달성
저가형 배터리 양산 첫 공식화
차세대 생산 거점 美 애리조나로

LG에너지솔루션이 2026년부터 전기차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생산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프리미엄 삼원계 배터리에 집중하던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이 시장을 꽉 잡고 있는 저가형 LFP 배터리 양산 계획을 공식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25일 실적 발표회(콘퍼런스콜)에서 올해 3분기 매출이 8조 2235억원에 영업이익 7312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앞서 잠정 공개했던 실적과 크게 다르지 않은 수치다.

이날 콘퍼런스콜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의 전기차용 LFP 배터리 양산 계획에 관심이 쏠렸다. LG에너지솔루션은 그동안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쓰이는 LFP 배터리 양산 계획만 알려 왔고, 전기차용 배터리로 양산하는 것에는 신중한 입장을 취해 왔다. 회사 관계자는 “최근 글로벌 전기차 업체들이 저가형 모델에서 LFP 배터리를 채택하는 사례가 급증하는 가운데 프리미엄에 이어 중저가 시장 수요까지 모두 잡겠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기존 강점을 가지고 있던 프리미엄 하이니켈 제품도 열제어 기술 향상 등 안전성을 높이고 신규 소재 적용을 통해 성능을 차별화할 계획이다. 80% 중후반 정도였던 니켈의 비중을 90% 이상으로 확대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고효율 실리콘 음극 소재를 활용해 급속 충전 시간도 15분 이하로 낮춘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테슬라 등에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는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46시리즈’의 핵심 생산 거점을 미국 애리조나 공장으로 정했다. 46시리즈 제품을 채용하겠다는 완성차 고객사가 많아지고 있다는 점을 반영해 이곳을 기존 27GWh 규모로 ‘2170 원통형 배터리’ 생산 공장을 짓는다는 계획을 수정한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4분기에도 유럽, 중국 지역의 전기차 수요 둔화와 리튬·니켈 등 주요 원재료의 가격 하락 등 녹록지 않은 경영 환경이 지속될 전망”이라면서도 “여전히 북미 지역 수요가 강하고 ESS 사업의 성장 등 많은 기회 요인이 있기 때문에 내실을 다지는 성장기로 삼을 것”이라고 했다.
오경진 기자
2023-10-26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