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TV 수요 둔화에도 프리미엄 시장은 오히려 커졌다

세계 TV 수요 둔화에도 프리미엄 시장은 오히려 커졌다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2-11-22 09:59
업데이트 2022-11-22 09: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전자, LG전자와 72% 차지하며 ‘선방’
전체 시장 점유율도 한국 TV가 과반 차지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TV 시장 수요 둔화에도 최상위 제품군 시장은 오히려 지난해보다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는 이 시장에서 70%를 점유하며 ‘선방’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옴디아가 2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3분기 누적 전체 QLED 제품군 판매량은 914만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846만대에 비해 약 8%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네오 QLED와 라이프스타일 TV 등을 앞세워 이 시장에서 672만대를 판매했다. 올레드(유기발광다이오드·OLED)TV 판매량 역시 누적 430만대를 기록해, 전년 동기 427만대보다 늘어났다. LG전자 올레드 TV는 이 기간 255만대가 팔렸다.

이 시장에서 두 회사 점유율은 약간 빠졌지만, 한국 브랜드가 72.3%를 넘기며 압도적인 우위를 점했다. 옴디아 등이 규정하는 프리미엄 시장은 가격 2500달러(약 340만원) 이상 제품에 해당한다. 삼성전자는 여기에서 51.1% 누적 점유율 기록하며 과반을 차지했다. LG전자 21.2%를 점유했다. 소니가 20.3%로 LG전자를 바짝 쫓았으며, 중국의 하이센스가 1.5%로 뒤를 이었다.

75형 이상 초대형 TV 시장에서도 삼성전자는 37.5%를 차지하며 1위를 지켰다. LG전자가 16.2%를 차지해 한국 업체가 53.7% 과반을 이뤘다. 소니는 13.2%, 중국의 TCL(10%)과 하이센스(9%)가 뒤따랐다.

3분기 누적 글로벌 TV 시장 규모는 723억 9000만 달러로 지난해에 비해 12.7%나 감소했다. 수량 기준 누적 판매량도 1억 4300만대를 기록해 1년 새 4.4%가 감소했다. 이른바 ‘코로나 특수’가 끝났고, 세계적 인플레이션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전체 TV 시장에서도 금액과 수량 기준 모두 점유율 순위를 지켜냈다. 삼성전자는 금액 기준 점유율 30.2%를 기록했다. LG전자가 17%로 뒤를 이었다. TCL은 9.3%, 하이센스는 8.6%, 소니 8.0% 등으로 집계됐다. 수량 기준으로는 삼성전자 20.2%, LG전자 12%, TCL 11.7%, 하이센스 10.1%, 샤오미 6.5% 등의 순서였다.

한편 LG전자 올레드TV는 2013년 출시 이후 총 누적 출하량 1400만대를 기록해 올해 안으로 1500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TV 출하량 30% 이상이 연말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김민석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