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미, 반도체로 中 때리기에 삼성,SK “영향 제한적”...“장비 교체시 차질 우려도”

미, 반도체로 中 때리기에 삼성,SK “영향 제한적”...“장비 교체시 차질 우려도”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2-10-09 17:19
업데이트 2022-10-09 17: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을 겨냥해 고강도의 반도체 장비·칩 수출통제  조치를 지난 7일(현지시간) 발표하며 중국과의 갈등이 더 심화하게 됐다. 서울신문 DB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을 겨냥해 고강도의 반도체 장비·칩 수출통제 조치를 지난 7일(현지시간) 발표하며 중국과의 갈등이 더 심화하게 됐다.
서울신문 DB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미국 정부의 대중국 고강도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와 관련 파장을 예의주시하며 대응 전략 짜기에 부심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측은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에 대해 미국의 개별심사로 사실상 예외 허용을 받으며 현재 중국에서 운영하는 공장에 장비를 공급하는 데는 당장 큰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첨단 공정을 도입하기는 어려울 거란 관측이 나온다. 대중 장비 수출에 대해 일일이 허가를 받게 되면 절차가 까다로워지고 수출이 지연되면서 생산 차질이 빚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삼성 관계자는 “그간 정부가 업계와 긴밀히 소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측과 논의한 걸로 안다”며 “각국 정부와 협의해 중국 공장이 원활히 가동될 수 있게 힘쓰겠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도 “정부와 협력해 미국으로부터 개별 허가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와 서류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 낸드플래시·쑤저우에 반도체 후공정 공장을, SK하이닉스는 우시에 D램·다롄에 낸드플래시·충칭에 후공정 공장을 각각 두고 있다.

정부도 국내 기업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수출 통제는 미국 측으로부터 사전 정보 공유가 있었고 협의를 통해 우리 입장을 충분히 전달했다”며 “미국 정부는 예외적 허가 절차를 통해 현재 운영 중인 공장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필요한 장비의 안정적인 공급을 보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장비를 공급하려면 하나하나 미국의 허가를 받아야 되는데 미국 측이 우리 기업에 얼마나 많은 정보를 요구할지, 어느 정도 시일이 소요될지 가늠하기 어렵다”며 “자료를 낼 때 기술에 대한 요구가 많으면 영업기밀이 유출될 수 있다는 걱정도 있다”고 말했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당장은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장비 교체 시기가 됐을 땐 새로 생긴 규제로 건별로 다 신청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복잡한 절차가 될 수 있다”며 “국내 기업은 다 통과시켜줄 거란 현재의 관측이 우리의 기대사항에 불과할 수도 있고, 통제 수위가 높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미중 갈등 이슈가 불거질 때마다 ‘중간에 낀’ 우리 기업으로서는 중국의 견제나 보복 가능성에도 늘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 한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중국을 때리면 중국이 한국 기업에 어떻게 나올지 모른다는 게 늘 상존하는 리스크”라며 “반도체 수출의 절반이 중국에서 나오는 만큼 중국 시장이 위축되면 우리 기업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은 “정부는 기업의 부담을 덜기 위해 미국에 대중 장비 수출 신고를 최대한 간소화해 달라고 요청하며 기민하게 소통해야 하고, 중국에는 우리가 현지 공장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이어갈 것이라는 메시지를 일관되게 전달하는 게 중요하다”고 짚었다.
정서린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