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의 착한 시선… 시각장애인에게 VR로 ‘세상의 빛’

삼성의 착한 시선… 시각장애인에게 VR로 ‘세상의 빛’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17-12-21 23:20
업데이트 2017-12-22 0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전자 첫 단편영화 ‘두개의 빛’ 이끈 릴루미노 앱 개발팀

“영화나 드라마에 등장하는 시각장애인은 늘 전맹인데, 편견입니다. 대부분 잔존시력이 있죠. 저시력 장애인이 주인공인 이번 영화를 통해 세상의 편견도 사라지고, ‘릴루미노’(시각장애인용 시각 보조 앱)로 도움을 받는 저시력 장애인도 늘길 바랍니다.”
릴루미노 착용에 따른 저시력인의 시야 비교
릴루미노 착용에 따른 저시력인의 시야 비교 저시력인의 본래 시야(왼쪽) 릴루미노를 썼을 때 시야(오른쪽)
21일 서울 잠실 롯데시네마에서 열린 단편영화 ‘두 개의 빛: 릴루미노’의 특별상영회를 찾은 조정훈(44) 팀장이 나직한 목소리로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C랩’에서 릴루미노 앱 개발팀을 이끌고 있다. 릴루미노는 라틴어로 ‘빛을 돌려준다’는 뜻이다. 스마트폰에 무료로 앱을 다운받아 구동하고, 가상현실(VR) 헤드셋에 넣은 뒤 눈에 쓰면 저시력 장애인도 물체나 글씨를 볼 수 있다.

조 팀장은 ‘시작은 작은 호기심’이었다고 말했다. “우연히 시각장애인 중 92%가 TV를 즐긴다는 기사를 보고 이상했죠. 곧 86%는 전맹이 아니라 잔존시력이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그럼 ICT(정보통신기술)로 도울 수 있겠다 싶었죠.”

지난해 5월부터 VR 기기 개발에 착수했지만 곧바로 난관에 부딪혔다. 굴절장애, 백내장, 녹내장 등 다양한 저시력 원인에 따라 각기 다른 프로그램이 필요했다. “흑백 화면이 좋을거라 생각했는데 오히려 컬러가 있어야 식별률이 높더군요. 시제품을 들고 복지관에 갔다가 잡상인 취급을 받기도 했죠. 다짜고짜 써 달라고 부탁하면서 시각장애인 수백명에게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많은 시행착오 끝에 올해 8월 릴루미노가 나왔다. 임상시험 결과 최대 교정시력이 0.1인 시각장애인의 시력은 0.8~0.9로 향상됐다. 개인설정을 통해 원인별로 맞춤형 프로그램을 고를 수 있게 했다. 비슷한 기능의 해외 의학기기가 1000만원을 호가하지만 릴루미노는 12만원짜리 VR 기기만 있으면 된다.
21일 서울 잠실 롯데시네마에서 단편영화 ‘두 개의 빛: 릴루미노’를 관람한 삼성전자 ‘릴루미노 앱 개발팀’의 심명섭(왼쪽부터), 전한별, 조정훈, 김승찬, 이찬원, 김용남씨. 삼성전자 제공
21일 서울 잠실 롯데시네마에서 단편영화 ‘두 개의 빛: 릴루미노’를 관람한 삼성전자 ‘릴루미노 앱 개발팀’의 심명섭(왼쪽부터), 전한별, 조정훈, 김승찬, 이찬원, 김용남씨.
삼성전자 제공
조 팀장은 제품을 만들어 건네는 과정 속에서 느끼는 감동이 큰 힘이 됐다고 설명했다. “중학교 1학년 여학생이 릴루미노를 쓰고 처음으로 앞에 앉은 엄마를 알아보는 순간, 엄마는 소리도 못 내고 눈물만 흘리더군요. 두 달 전에 시각장애 피아니스트인 노영서씨가 독일에서 VR을 쓰고 69분간 연주를 마쳤을 때 300여명의 관객이 기립박수를 보냈습니다.”

반면 가슴 아픈 또 다른 순간들 때문에 연구를 그만둘 수 없다고 했다. “저시력인 30개월 아기의 부모가 도움을 청해 왔는데 정작 아이는 VR을 씌우면 놀라고 무서워 방법이 없었어요. 언젠가는 아기와 어린이용 버전도 만들고 싶습니다.”

내년 초에는 저시력 장애인들이 보다 가볍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글라스’ 형태의 시제품이 나온다.

이날 공개된 ‘두 개의 빛: 릴루미노’는 삼성전자가 릴루미노를 알리기 위해 처음으로 제작한 단편영화다. 시각장애에도 불구하고 밝은 미소와 당찬 모습으로 살아가는 아로마 테라피스트 수영(한지민)과 차츰 시력을 잃어가는 피아노 조율사 인수(박형식)가 사진 동호회에 참여하며 서로에게 다가가는 이야기다. ‘8월의 크리스마스’, ‘봄날은 간다’ 등을 맡았던 허진호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7-12-22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