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합병 가이드라인’ 변경] 삼성그룹 ‘당혹’… “할 말 없다” 말 아껴…재계 “경영 예측 가능성·정책 신뢰 저해”

[공정위 ‘합병 가이드라인’ 변경] 삼성그룹 ‘당혹’… “할 말 없다” 말 아껴…재계 “경영 예측 가능성·정책 신뢰 저해”

입력 2017-12-21 23:20
업데이트 2017-12-22 02: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정거래위원회가 21일 ‘합병 관련 신규 출자 금지법 집행 가이드라인’을 변경해 삼성SDI에 삼성물산 주식 404만주를 추가 매각하도록 한 데 대해 삼성그룹은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최대한 말을 아꼈다. 그러나 공정위가 2년 만에 스스로 ‘가이드라인 오류’를 인정하며 지분 매각을 사실상 통보한 데 대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삼성SDI를 상대로 ‘삼성물산 주식 404만주 추가 매각’을 요구한 21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본관 사옥에 사기가 펄럭이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공정거래위원회가 삼성SDI를 상대로 ‘삼성물산 주식 404만주 추가 매각’을 요구한 21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본관 사옥에 사기가 펄럭이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삼성그룹 관계자들은 이날 약속한 듯 “할 말이 없다”며 입을 모았다. 주식을 처분해야 하는 삼성SDI 관계자도 “공정위의 관련 예규가 확정되면 법률 검토를 한 뒤, 대응 방안을 신중히 결정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일단 공정위가 추가 지분 매각에 유예기간을 두기로 함에 따라, 우선 상황을 지켜보면서 후속 조치가 논의될 때 필요하다면 의견을 제시하겠다는 뜻이다.

다만 올해 초 삼성전자 미래전략실이 해체되면서 계열사 지분이나 출자 문제를 총괄할 구심점이 없어진 상황에서 강한 대응은 어렵지 않겠냐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내부에서는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당시 공정위가 내놓은 주식 처분 지침을 삼성SDI가 충실히 따랐음에도, 정부 방침 변경으로 주식을 추가 매각하는 상황이 닥친 것에 대해 당혹감과 함께 불만의 기류도 읽혔다.

재계에선 이번 조치로 이재용 부회장 일가의 그룹 지배력이 약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 재계 관계자는 “기업활동에 가장 중요한 예측 가능성, 정책 일관성에 저해되는 조치로, 정책 신뢰도가 저해될 수 있다”면서 “외국 투자가들이 국내 경영 환경을 믿고 투자할 수 있겠냐”고 우려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비단 삼성뿐 아니라 순환출자를 가진 다른 기업들에 지배구조 정리 속도를 높이라는 묵시적 사인을 준 셈”이라고 해석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7-12-22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