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p ‘찔끔’ 내린 물가상승률 … “둔화 이어가지만 불확실성 커”

0.1%p ‘찔끔’ 내린 물가상승률 … “둔화 이어가지만 불확실성 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12-29 10:45
업데이트 2023-12-29 1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간 물가상승률 3.6%, 한은 전망치와 일치
“완만한 둔화 예상 … 국제유가·농산물 등 불확실성 커”

이미지 확대
올해 소비자물가 3.6% 상승, 5개월 연속 3%대 상승
올해 소비자물가 3.6% 상승, 5개월 연속 3%대 상승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29일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올해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당초 제시한 올해 물가 전망(3.3%)을 상회하는 수치다. 이달 물가는 3.2%를 기록하면서 5개월 연속 3%대를 이어갔다. ‘2023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11.59(2020=100)로 전년 대비 3.6% 상승했다. 2023.12.29. jhop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하며 더딘 둔화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은 물가상승률이 완만한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국제유가 등 불확실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29일 물가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향후 물가 흐름에 대해 “농산물 가격이 점차 안정되고 국제유가가 다시 크게 상승하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물가상승률은 둔화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이나, 그 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3.2%로 11월(3.3%)에 비해 0.1%포인트 하락했다.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 근원물가 상승률은 3.4%로 집계돼 한은의 11월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전망치와 일치했다.

김 부총재보는 “농산물가격 상승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유가가 낮아지면서 석유류가격 하락폭이 확대됐고, 근원물가는 외식과 상품을 중심으로 둔화 흐름을 지속했다”고 설명했다. 11월(3.3%)에 비해 농산물(+0.04%포인트)이 상방요인으로, 근원(-0.08%포인트)과 가공식품(-0.07%포인트) 등이 하방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국제유가와 농산물 등에서 불확실성이 커 대내외 물가 충격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부총재보는 “향후 물가 전망경로 상에는 유가 및 농산물가격 추이, 국내외 경기흐름, 누적된 비용압력의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김소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