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위기는 오히려 대약진 기회… 기술력 갖춘 中企 지속 지원”

“위기는 오히려 대약진 기회… 기술력 갖춘 中企 지속 지원”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7-01-10 22:52
업데이트 2017-01-11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도진 신임 기업은행장이 밝힌 ‘국책은행 역할’

“위기는 오히려 ‘퀀텀 점프’를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 아니겠습니까. 어려운 때일수록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들을 발굴하고 지원을 이어 나가는 것, 그게 우리한테 주어진 미션이지요.”

김도진 기업은행장은 10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중소기업 지원 전문은행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IMF 외환위기 등 몇 차례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크게 성장했다”면서 위기 돌파 의지를 내비쳤다. 기업은행 제공
김도진 기업은행장은 10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중소기업 지원 전문은행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IMF 외환위기 등 몇 차례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크게 성장했다”면서 위기 돌파 의지를 내비쳤다.
기업은행 제공
김도진(58) 신임 기업은행장은 10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중소기업 지원 전문은행으로서의 역할을 거듭 강조했다. 한계기업 구조조정과 경기 침체로 어려움에 처한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기업에 돈을 빌려준 은행의 위기감도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은행의 건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국책은행의 역할을 모두 해내야 하는 김 행장의 어깨가 무겁다.

김 행장은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줄이거나 막진 않겠다”면서 “옥석은 가리되 필요한 분야에는 더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역대 신년사를 보면 그해가 가장 힘든 해가 될 것이라고들 했다. 하지만 그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라며 “IMF 위기(1997~1998년), 카드대란(2002~2003년),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때 많은 은행들이 중소기업 여신을 줄이거나 끊었지만 기업은행은 오히려 그 과정 속에서 자산이나 고객 수, 거래 업체를 늘리며 크게 성장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기업은행은 지난해 중소기업 대출의 22.8%를 담당했다.

특히 영세 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소기업,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이 사회 저변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고용 창출의 효과도 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기업과 가계를 포함한 올해 대출 공급 목표 58조 5000억원 가운데 당초 5조 5000억원 규모로 잡았던 중소기업 대출 순증 규모를 1조원 늘렸다. 김 행장은 “중소기업은 순증 목표를 넘어 7조~8조원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기업은행은 비은행 부문 수익을 20%까지 늘리고 해외 비중도 확대하기 위해 이달 중 조직을 개편할 예정이다. 김 행장은 “현행 사업부제를 도입한 지 14~15년이 됐다. 작년에 했던 사업이니 올해도 하자는 식은 안 된다”면서 “마케팅 쪽은 줄이고 핀테크나 스마트뱅킹 등 미래금융 분야, 글로벌, 투자은행(IB) 분야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창립 후 처음으로 해외 은행 인수합병(M&A)에도 나선다. 국내 기업들이 많이 진출해 있는 인도네시아 현지 은행 M&A를 통해 진출하고, 비대면 시스템인 ‘아이원뱅크’도 접목할 계획이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김도진 행장은…

1985년 기업은행에 입행해 국책은행이 배출한 역대 네 번째 내부 출신 은행장이다. 전략기획부장, 카드마케팅부장, 기업금융센터장, 경영전략그룹장 등 핵심 업무를 두루 거쳤다. 2005년 새로 개설된 인천 원당지점의 지점장으로 있을 때 사비로 TV를 구입해 설치한 뒤 주변 점포들의 광고를 만들어 틀어 주는 등 공격적인 영업으로 신설 지점을 1위로 끌어올린 일화가 유명하다.
2017-01-11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