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가·신저가 모두 ‘압구정 현대’서 나왔다

신고가·신저가 모두 ‘압구정 현대’서 나왔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3-03-15 23:53
업데이트 2023-03-15 2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1년간 현대6차 13억 뛰어
현대1차 44억→35억 5000만원
2월 서울 급매 중심 2000건 거래

이미지 확대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16개월 만에 2000건을 넘어섰다. 급매물이 쏟아지면서 시장은 신고가, 신저가 거래가 혼재된 상황이다.

1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총 2166건으로 2021년 10월 (2198건) 이후 16개월 만에 처음으로 월 거래량 2000건을 돌파했다. 동월 기준 2020년 8300건, 2021년 3841건과 비교하면 적은 수치지만 전월(1419건)보다는 52.6% 증가한 것이면서 지난해 10월 559건 등 거래 절벽이 극심했던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하면 많이 늘어난 수치다.

서울 아파트 거래가 증가한 것은 연초 강남 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전역이 규제지역에서 풀린 뒤 시세보다 싼 급매물을 중심으로 대기 수요들이 유입됐기 때문이다. 구별로 거래량이 가장 많은 곳은 221건 거래된 송파구였다. 송파구 헬리오시티 전용면적 84㎡의 경우 2021년 10월 23억 8000만원이던 것이 올해 1월 15억 3000만원에 팔리는 등 8억원 이상 급락했다. 바닥권 인식이 커지자 매수세가 몰리는 것이다.

서울 아파트 급매가 쏟아지는 가운데 신고가, 신저가 거래가 혼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지난달 전국 아파트 거래를 분석한 결과 신고가·신저가(1년 내)를 경신한 거래가 모두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에서 나왔다.

전국 아파트 중 신고가 상승액이 가장 큰 곳은 현대6차 전용면적 157.36㎡였다. 지난달 58억원에 거래돼 지난해 12월 같은 면적의 기존 최고가 45억원보다 13억원 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저가 하락액 1위는 같은 압구정동 현대1차 전용면적 131.48㎡로 조사됐다. 지난달 35억 5000만원에 거래되며 지난해 3월 44억원보다 8억 5000만원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거래량 증가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고 말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추이상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늘어난 것은 맞지만 서울 부동산 거래량 정상치는 3000~4000여건으로 볼 수 있다”며 “그 이상으로 거래량이 올라와야 반전 상승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수경 기자
2023-03-16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