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 강남·서초아파트 거래 절반이 신고가… 평균 4억 급등

대선 후 강남·서초아파트 거래 절반이 신고가… 평균 4억 급등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2-04-18 20:42
업데이트 2022-04-19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고가 아파트 평균 가격 25억
재건축 확대 기대에 다시 들썩

이미지 확대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모습. 서울신문 DB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모습. 서울신문 DB
대선 이후 한 달 동안 서울 강남·서초구에서 거래된 아파트 중 절반이 신고가를 경신하는 등 이 지역 집값이 들썩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으로부터 제출받아 18일 공개한 ‘대선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 현황’ 자료에 따르면 3월 10일부터 4월 12일까지 약 한 달 동안 이뤄진 서울 강남·서초구 아파트 거래 건수는 59건으로 나타났다. 이전 거래가 없는 거래는 이번 분석에서 제외했다.

이 중 직전 최고가보다 더 오른 가격에 매매된 아파트 거래(상승거래)는 29건으로 전체의 약 49.2%를 차지했다.

서울 전체와 비교해도 강남·서초구 아파트의 상승거래 비중은 월등히 높았다.

같은 기간 서울의 아파트 거래는 640건이었는데 이 중 직전 최고가 대비 집값이 상승한 거래 비중은 31.9%(204건)였다. 강남·서초구의 상승거래 비중이 약 17% 포인트 높은 셈이다.

강남·서초구에서 상승거래가 이뤄진 아파트들의 평균 집값은 25억 4207만원으로, 직전 최고가 평균 집값(21억 4786만원) 대비 3억 9421만원 올랐다.

김 의원실은 하향 안정화 추세였던 서울 집값이 차기 정부의 재개발·재건축 확대 기조에 다시 들썩이고 있다면서 강남·서초구의 집값에 향후 서울 전역이 ‘키 맞추기’를 이룰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11주간의 하락을 멈추고 4월 첫째 주 보합으로 돌아섰다. 강남·서초구는 4월 둘째 주 4주 연속 아파트값이 상승했고, 특히 강남구는 14주 만에 최대폭의 상승률(0.04%)을 기록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역시 부동산 규제 완화 기조에 일부 지역의 집값이 오를 움직임을 보이자 속도조절론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김 의원은 “재개발·재건축 확대 기조가 강남 부자만을 위한 정책이 되어서는 안 된다”면서 “인수위가 부동산 시장의 불안 가능성을 너무 안일하게 보고 있는 건 아닌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2022-04-19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