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거래절벽’ vs 분양 ‘구름 인파’… 아파트 양극화

기존 ‘거래절벽’ vs 분양 ‘구름 인파’… 아파트 양극화

류찬희 기자
입력 2017-09-04 23:52
업데이트 2017-09-05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건축 0.54%↓… 거래도 급감, 서초 신반포 등 견본주택 북새통

서울 아파트 시장이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기존 아파트 시장은 거래절벽으로 침체에 빠져들고 있지만, 신규 청약시장은 후끈 달아오르는 양상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8·2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다주택자 규제가 강화되면서 기존 아파트 거래는 급감했지만 분양 시장은 여전히 나 홀로 인기를 끌고 있다. 대책 발표 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매주 하락세를 이어 갔다. 한 달간 서울 아파트값은 0.17% 오르는 데 그쳤다. 이 기간 재건축 대상 아파트값은 0.54% 하락했다.

거래량도 급감했다. 거래 규제 직격탄을 맞은 재건축 대상 아파트는 찾는 사람이 없어 거래절벽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주택 경매시장도 한풀 꺾였다. 경매 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서울 주택 낙찰가율은 7월 96.7%에서 지난달 92.1%로 떨어졌다. 평균 응찰자 수도 7월 7.7명에서 지난달에는 4.2명으로 경매장을 찾는 사람이 감소했다.

반면 신규 아파트 청약시장은 여전히 뜨겁다. 견본주택마다 구름 인파로 발을 디딜 틈이 없이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지난 1일 문을 연 서초 ‘신반포센트럴자이’ 견본주택은 주말 내내 장사진이 연출됐다. 1일부터 3일까지 견본주택 방문객은 2만 5000여명에 이른다. 분양권 전매를 노린 ‘떴다방’(이동식 중개업소)이 견본주택 인근에 등장한 것만 봐도 분양 아파트의 인기를 실감케 한다.

청약 과열 조짐은 낮은 분양가 책정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애초 조합과 건설사는 분양가를 3.3㎡당 4600만원 정도로 책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정부가 강남 재건축 아파트 고분양가를 손보겠다고 밝힌 데다 8·2 대책으로 청약 열기가 가라앉을 것을 걱정해 조합과 시공사는 분양가를 3.3㎡당 평균 4250만원으로 낮췄다. 주변 시세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새 아파트를 장만할 수 있어 ‘로또 아파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결국 강남 지역에서 공급되는 신규 분양 아파트는 탄탄한 실수요층을 확보한 데다 ‘당첨만 되면 대박’이라는 기대감에 가수요까지 몰려 청약 열기가 과열되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청약 과열을 가라앉힐 수 있는 추가 대책이 나올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7-09-05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