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가지 논란’ 광장시장 뒤늦게 수습… 정량표기제·모니터링 도입

‘바가지 논란’ 광장시장 뒤늦게 수습… 정량표기제·모니터링 도입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12-03 11:57
업데이트 2023-12-03 1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유튜브 희철리즘
유튜브 희철리즘
유명 유튜브 등을 통해 바가지요금 논란이 불거진 광장시장이 수습에 나섰다.

서울시는 3일 광장시장의 상거래 질서 확립을 위해 관할구인 종로구, 상인회, 먹거리 노점 상우회와 함께 대책 마련에 나섰다고 밝혔다. 광장시장은 외국인들이 찾는 한국 대표 관광 명소 중 하나지만 지나치게 비싼 가격으로 최근 크게 이슈가 됐다. 시는 바가지 논란을 근절하기 위해 정량 표시제, 사전가격협의체, 미스터리 쇼퍼 등을 도입하기로 했다.

정량표시제는 메뉴판 가격 옆에 정량을 표시하는 제도다. 내용물을 줄이거나 지나치게 부실한 구성으로 음식을 판매하는 것을 예방하는 조치다. 같은 품목이라도 원재료 단가 차이와 구성에 따라 점포별로 가격은 다를 수 있지만 중량 표시와 사진 등을 통해 소비자의 이해를 돕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육회 가격을 A점포는 1만 9000원(200g), B점포는 2만 8000원(300g) 등으로 표시하게 된다.

빈대떡 등 광장시장의 대표 먹거리는 상점 앞에 모형을 배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시는 내년 상반기 중으로 정량 표시제와 모형 배치를 단계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사전가격협의체를 신설해 시와 종로구, 상인회가 함께 가격 인상 시기와 금액 등을 논의한다. 기존에는 원재료 가격 인상 등으로 가격 조정이 필요한 경우 노점상 간 합의로 가격을 결정했다. 시는 시장경제 논리에 따라 관공서가 직접 가격 결정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원칙은 지키되 물가안정 요청과 인근 시장 가격 동향 등을 파악하고 협의체를 지원할 방침이다.

미스터리 쇼퍼는 상시로 시장을 방문해 바가지와 불친절을 감시하는 모니터링 요원이다. 이들이 바가지요금, 강매 등을 적발해 상인회에 전달하면 영업정지 등 강력한 제재 조치가 이뤄질 예정이다. 상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월 1회에서 2회로 확대되며 상거래 질서 확립 교육도 함께 진행한다. 주 1회 적정가격 유지 캠페인은 물론 요주의 상인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해 민원 발생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박재용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서울의 대표 명소인 광장시장의 신뢰 회복을 위해 종로구, 광장전통시장 상인회와 함께 다각도의 대안을 마련하고 추진할 계획”이라며 “광장시장이 관광객과 젊은 세대들이 계속해서 사랑받고 믿고 찾을 수 있는 시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