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 쌓이는 전자·車… 제조업 경기 하락 주도

재고 쌓이는 전자·車… 제조업 경기 하락 주도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6-03-27 20:40
업데이트 2016-03-27 2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경제연구원 분석

1월 재고율 외환위기 수준
전자 170.1%·차 153.7%
올 3% 경제성장률 힘들 듯


우리나라 수출의 주력인 전자와 자동차 산업의 재고율 급등으로 제조업 경기가 하강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올해 경제성장률 3% 달성은 더욱 어려울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현대경제연구원이 27일 내놓은 ‘재고율로 본 국내 제조업 경기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 1월 전자산업 재고율은 전체 제조업 가운데 가장 높은 170.1%다. 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 7월(173.4%) 이후 가장 높다. 자동차 재고율도 153.7%로 전자산업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재고율이 170%라는 것은 상품 100개가 팔려 나갈 때 창고에 170개가 쌓인다는 뜻이다.

전자산업의 재고율이 높아진 이유는 글로벌 수요 부진과 경기 하락, 수출 둔화, 반도체 업체의 수급 조절 등이 겹쳐서다. 전자산업 가운데 영상음향기기를 제외한 전자부품(177.3%)과 반도체(142.1%), 휴대전화 등 통신방송장비와 컴퓨터의 재고율이 최근 높아지고 있다.

자동차산업의 재고율은 엔화 약세가 나타나기 시작한 2013년 이후부터 계속 높아졌다. 수출 부진과 함께 개별소비세 인하가 지난해 12월 끝난 것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자동차 개소세 인하를 올 상반기까지 연장했다.

전자와 자동차산업의 영향으로 올 1월 전체 제조업 재고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인 2008년 12월(129.5%) 이후 85개월 만에 가장 높은 128.4%다. 전자와 자동차산업을 제외한 제조업 재고율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가 창궐했던 지난해 5월 122.7%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해 1월 전체 제조업 재고율보다 10.4% 포인트 낮은 118.0%까지 떨어졌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수요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전자와 자동차산업의 특성상 국내 제조업의 경기하강기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재고율이 높으면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떨어져 기업의 설비 투자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기업의 투자가 줄어들면 고용은 물론 국내총생산(GDP)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실제 최근 국내외 경제 전망 기관들은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2.2~2.6%를 제시했다. 정부 전망치(3.1%)에 한참 못 미친다. 김 연구위원은 “확장적 재정·통화 정책을 이어 가면서 미리 추경 편성 계획을 수립해 실제 경기부진 현상이 나타날 경우 정책 입안과 실행 간의 시차를 줄여야 한다”면서 “투자 여력과 경쟁력이 있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신성장 유망 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6-03-28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