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출고가 인하 기폭제 되나

스마트폰 출고가 인하 기폭제 되나

입력 2014-10-27 00:00
업데이트 2014-10-27 04: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이폰6 예약 열풍에 국내 제조사들 바짝 긴장

아이폰6 예약 판매 열기가 기대 이상으로 달아오르면서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이후 냉랭한 이동통신 시장에 훈풍을 불어넣고 있다. 아이폰은 출시 때마다 매번 화제지만 국내에서는 점유율이 5~7%에 그쳤다. 그러나 이번엔 분위기가 조금 다르다. 최근 시장이 완전히 얼어붙은 상황을 고려하면 대박 조짐도 보인다. ‘그래도 한국에서는’이라고 생각해 왔던 국내 제조사들은 바짝 긴장한 모양새다.

지난 주말(24~26일) 휴대전화 대리점 등은 아이폰 출시에 따라 다른 스마트폰들의 지원금이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찾아온 고객들로 북적였다. 단통법 이후 체감 보조금이 확 줄어 스마트폰 구입 시기를 뒤로 미루기만 하던 소비자들이 다시 구매 의향을 보이는 것이다. 번호이동 가입자는 단통법 시행 1주차(1~7일) 2만 3784건에서 아이폰 예약판매 날짜가 공개된 3주차(15~21일)에 5만 2794건으로 122% 늘었다. 신규 가입 역시 SK텔레콤은 1주차에 비해 3주차에 17% 늘었다.

이 같은 분위기에는 아이폰 출시를 계기로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어 보겠다는 이통사들의 전략이 숨어 있다. 아이폰만 많이 팔겠다는 게 아니라 아이폰을 명분으로 전체 스마트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속셈이다. 실제로 출고가 인상을 압박받던 이통사들은 아이폰 출시를 앞두고서야 5만~10만원 이상 지원금을 키웠다. 사실 아이폰만 선호하는 소비자는 보조금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중고가가 워낙 높아 보조금 지원을 받지 않아도 큰 손해를 보지 않기 때문이다.

아이폰 열풍이 국내 제조사에 영향을 미쳐 출고가 인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아이폰 점유율이 커지면 삼성전자나 LG전자 등 국내 제조사들이 방어를 위해 움직일 것이란 얘기다. 특히 국내는 이동통신망이 가장 발달한 시장일뿐더러 홈그라운드라는 상징성도 크기 때문에 쉽게 양보하기 어렵다. 정부가 내리지 못하는 스마트폰 출고가를 아이폰이 내릴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지난 24일 이통사들은 경쟁적으로 아이폰 예약판매 숫자를 공개하며 우위를 강조했는데, KT는 1분 만에 물량 1만대가 동났고 30분 만에 1차 예약분 5만대가 나갔다고 밝혔다. SK텔레콤도 2분 만에 1만명 1차 예약이 완료됐고, LG유플러스도 20분 만에 2만대가 동났다고 발표했다. 물론 예약 가입자가 모두 실제 가입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70만원대에 출고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LG유플러스를 제외하고는 아이폰의 출고가와 지원금 규모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 이 때문에 이통사별 혜택을 저울질하며 이통 3사에 모두 예약을 건 소비자들도 적지 않다. 예약 열기가 그대로 이어질지는 뚜껑을 열어 봐야 한다는 소리다. 하지만 아이폰이 스마트폰 시장을 움직이는 열쇠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10-27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