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해외선 스마트폰 진료, 한국선 다이어트 앱뿐

해외선 스마트폰 진료, 한국선 다이어트 앱뿐

입력 2013-08-21 00:00
업데이트 2013-08-21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만보계 기능만 추가해도 의료기기로 규제해 혁신 막아 80억弗 시장 손놓고 뺏길 판

#아프리카 케냐의 한 오지 마을. 마을 노인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스마트폰 카메라에 눈을 바짝 갖다댄다. 백내장 검사를 위해서다. 기다리는 사람 대부분은 평생 의사를 한 번도 만나지 못한 사람이다. 카메라 플래시로는 망막 뒤를 밝혀 다른 안과 질환이 있는지도 점검한다. 화면 속 크기가 변하는 글자는 자동 시력검사용이다. 이렇게 저장된 기록은 대도시 안과의사에게 전달된다.

이미지 확대
출처 BBC 홈페이지
출처 BBC 홈페이지
먼 미래 이야기가 아니다. 케냐 현지에서 의료 소외층 5000명을 대상으로 영국의 한 대학병원이 진행 중인 모바일 헬스케어 시험사업이다. 시범사업에 쓰인 휴대전화는 모두 삼성전자 갤럭시S4다. 여기에 기본적인 안과 진료용 애플리케이션(앱)을 구동시키는 것이 전부지만 현재 해당 기술은 한국에서 적용할 수 없다. 국내 의료법 때문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통해 원격으로 환자의 몸 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에 이상이 오면 바로 신호를 주는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은 대표적인 미래 먹거리로 꼽힌다. 이 때문에 국제 경쟁도 심하지만 기술력을 다 갖췄다고 자부하는 한국은 갈 길이 멀기만 하다. 의료법 등에 막혀 쓸만한 앱조차도 실용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일 리서치 회사 리서치투가이던스(Research2guidance)는 5년 후인 2018년까지 헬스케어 기술시장 규모가 8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밝은 시장성에 국내 기업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최신 스마트폰은 출시부터 건강 체크용 센서 등을 탑재한 것들이 많다. 삼성 갤럭시 S4는 탑재된 습도센서 등 여러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와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입력하면 열량과 운동 관련 내용도 추천해 준다. 관련 액세서리 등을 달면 체중, 맥박수 등도 측정할 수 있다. 통신사는 대형병원과 손잡고 있다. SK텔레콤은 서울대병원과 함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헬스온’ 서비스를 상용화했다. 정밀 건강검진 결과와 체력측정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가가 맞춤형 건강관리를 하는 서비스다. KT도 연세대학교의료원과 함께 ‘후헬스케어’를 설립했다. 정보통신 기술을 결합해 환자 상태를 항시 검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하지만 모바일 헬스케어가 상용화되려면 판매부터 원격 진료까지 법적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일례로 2004년 LG전자는 혈당 측정 기능이 있는 휴대전화를 내놨지만 2000여대밖에 못 팔고 사업을 접었다. 의료기기로 분류된 당뇨폰을 팔려면 휴대전화 판매업자가 의료기기 판매 허가까지 받아야 했기 때문이다. 특히 원격 진료가 허용되면 대형병원 쏠림 현상이 생겨 동네 병원은 고사할 것이라는 이유로 의료계 내부의 반대도 높다. 이렇다 보니 실제 출시하는 스마트폰 건강관리 앱은 다이어트용 수준이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과는 달리 체온계나 만보계 기능 하나만 추가해도 의료기기로 분류하는 상황이다 보니 스마트폰 업계가 혁신적인 기능을 탑재하기 어렵다”면서 “규제가 많을 수밖에 없는 의료사업의 특수성을 인정하더라도 허물 수 있는 장벽들은 과감하게 손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3-08-21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