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칩’ 장착 LG·팬택 LTE폰 판매 쑥쑥

‘원칩’ 장착 LG·팬택 LTE폰 판매 쑥쑥

입력 2012-06-07 00:00
업데이트 2012-06-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배터리 수명 길고 버벅임 해소…지난달 33만·28만대씩 팔아

국내 롱텀에볼루션(LTE)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독주가 이어지고 있지만 ‘원칩 LTE폰’을 앞세운 LG전자와 팬택의 반격도 거세지고 있다.

6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LTE 스마트폰 시장 규모는 152만대 정도로, 이 가운데 삼성전자가 93만대의 LTE폰을 판매해 61%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다. 지난달에만 ‘갤럭시노트’가 월 기준 최대인 80만대가량 나가며 실적을 이끌었다. 삼성전자가 여전히 독주하고 있지만, 점유율은 지난해 말 본격적으로 LTE폰 시장이 열린 이후로 가장 낮다.

LG전자는 지난달 33만대의 LTE폰을 판매하며 자체 월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고, 점유율도 21%까지 끌어올렸다. 한동안 팬택에 빼앗겼던 2위 자리도 되찾았다. 특히 지난달 내놓은 ‘옵티머스LTE 2’가 모바일 전문 커뮤니티 세티즌의 휴대전화 랭킹에서 5주 연속(5월 7일~6월 5일) 1위를 차지하고, 판매량에서도 출시 10일 만에 15만대를 기록하는 등 인기를 얻고 있는 점에 기대를 걸고 있다.

팬택 역시 ‘베가레이서2’를 앞세워 28만대(18%)의 LTE폰을 판매했다. 전달보다 10만대 가까이 판매량을 늘리며 LG전자를 맹추격했다.

LG전자와 팬택이 선전할 수 있었던 것은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와 LTE 통신칩을 하나로 합친 ‘원칩폰’ 덕분인 것으로 풀이된다. LG전자 관계자는 “기존 LTE폰의 최대 불만이던 짧은 배터리 수명과 ‘버벅임’(속도가 느려지거나 중간에 프로그램이 멈추는 현상) 등을 근본적으로 개선한 ‘2세대 제품’을 내놓은 게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2-06-07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