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직전 요소 통관 틀어막은 中… 2년 만에 ‘요소수 대란’ 재현되나

수입 직전 요소 통관 틀어막은 中… 2년 만에 ‘요소수 대란’ 재현되나

이정수 기자
이정수, 곽소영 기자
입력 2023-12-04 02:37
업데이트 2023-12-04 06: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0% 中 의존… 차량용 요소 비상
오늘 관계부처 긴급회의 열기로
“3개월치 비축… 공급 루트 다변화”

이미지 확대
한 화물차 기사가 자신의 컨테이너 화물차에 요소수를 넣고 있다. 2023.09.27. 뉴시스
한 화물차 기사가 자신의 컨테이너 화물차에 요소수를 넣고 있다. 2023.09.27. 뉴시스
중국에서 국내로 들어오려던 요소가 중국 통관에 막혀 선적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업체의 대중국 요소 의존도가 90%를 웃돌아 2년 전 ‘요소수 대란’이 재현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정부는 4일에도 관계부처 합동으로 긴급회의를 열기로 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3일 정부와 산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등은 지난 1일 중국산 요소 수입 관련 긴급 점검회의를 열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달 30일 선적 예정이던 요소가 (중국) 통관에서 잡혔다는 보고를 접수하고 이튿날 회의를 했고, 외교부를 통해 중국에 확인 요청과 문제 제기를 했다”고 밝혔다.

중국 측은 주말 새 공식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현재 공식적으로 요소에 대한 수출 통제를 하고 있진 않다. 정부는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는 한편 중국 측에 통관에 막힌 물량을 풀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요소 생산국으로 한국도 수입량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이번에 통관 보류된 요소는 차량용 요소수 물량이며 보류된 기업 중에는 국내 대기업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비료용 요소는 중동 등에서 수입하고 있어 타격이 작지만 차량용은 중국산이 막히면 후폭풍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2년 전 요소수 대란은 중국이 자국 내 수급 문제로 수출을 금지하면서 빚어졌다. 이번 통관 문제도 겨울철 난방 수요 급증으로 인한 중국 내 수급 불안이 원인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기재부 관계자는 “현재 비축 물량은 국내 재고와 일본, 베트남에서 들어오는 물량을 포함해 3개월 정도는 충분하다”면서 “수급 불안이 계속된다면 요소 공급원 다변화 루트를 알아볼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67%로 떨어졌던 중국산 요소 비중은 올 들어 90%를 웃돌고 있다. 베트남 등에서 수입하는 것보다 중국산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서다. 하지만 2년 전 대란을 겪고도 중국산 요소수 의존도가 다시 높아졌다는 점에서 정부 대응이 미진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세종 이정수·곽소영 기자
2023-12-04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