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네 번째 공매도 금지… 美·英 코로나 때도 유지

韓 네 번째 공매도 금지… 美·英 코로나 때도 유지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3-11-06 01:02
업데이트 2023-11-06 06: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위기 등 증시 폭락 막지 못해
주가하락 원인 입증 근거는 없어

이미지 확대
역대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 및 일정
역대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 및 일정
한국 증시 역사에서 공매도 금지 조치가 시행된 건 이번이 네 번째다. 앞선 조치 때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1년 유럽 재정위기, 코로나19 사태 등 국제적인 이슈가 있었다. 이번 조치는 고금리로 인한 글로벌 경제 성장세 둔화 등 대외 변수도 있지만 대규모 불법 무차입 공매도라는 내부 변수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공매도 금지가 처음 있었던 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로 같은 해 10월 1일부터 이듬해 5월 31일까지 8개월간 전 종목의 공매도가 금지됐다. 두 번째 조치는 유럽 재정위기가 닥친 2011년 8월 10일부터 11월 9일까지 3개월간 시행됐다. 2020년 코로나19에 따른 공매도 금지 조치는 역대 최장 기록을 갖고 있다. 그해 3월 16일부터 6개월 시한으로 시행됐지만 두 차례 연장을 거치면서 이듬해 5월 2일까지 약 1년 2개월간 이어졌다. 금리 하락과 유동성 공급으로 주식시장이 반등하고 변동성이 줄어들자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지수 편입 종목은 공매도를 재개했고 이는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공매도는 선진 자본시장에서 허용되는 제도다. 다만 매도 주문을 내기 전 미리 주식을 차입하지 않은 무차입 공매도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대부분의 국가에서 금지되고 있다.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가 주가하락을 초래한다고 주장하지만 이론적으로 이를 입증할 만한 확실한 근거는 없다. 실제 미국·영국·일본 등 주요 금융 선진국들은 코로나19 때도 공매도 금지 조치를 시행하지 않았다.

민나리 기자
2023-11-06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