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여 만의 유커 귀환…화장품·호텔·여행株 질주

6년여 만의 유커 귀환…화장품·호텔·여행株 질주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3-08-11 16:05
업데이트 2023-08-11 16: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정부, 한국행 단체 관광 전면 허용
간만의 ‘중국 특수’ 기대…관련주 급등세

이미지 확대
11일 서울 명동 거리가 인파로 북적이고 있다. 2023.8.11. 연합뉴스.
11일 서울 명동 거리가 인파로 북적이고 있다. 2023.8.11. 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우리나라에 대한 자국민 단체관광을 전면 허용한다는 소식에 움츠려 있던 국내 화장품·호텔 주가가 모처럼 기지개를 켜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7년 중국의 한한령 이후 사실상 6년 5개월 만에 유커(중국인 단체 관광객)를 맞는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화장품 대장주 LG생활건강은 이날 49만 50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2거래일 전 종가인 43만 9500원에 비하면 12.6% 급등했다. 같은 기간 아모레퍼시픽은 7.7% 뛰었으며, 신세계인터내셔날(4.4%), 한국콜마(10.9%), 코스맥스(28.0%) 등도 급등했다. 중·소형주인 한국화장품은 2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치며 68.9% 폭등했으며, 토니모리(38.0%), 제이준코스메틱(51.3%), 잇츠한불(35.2%) 등도 급등주 대열에 합류했다.

유커 소비 영향을 크게 받는 호텔·여행 주가도 크게 뛰었다. 이 기간 호텔신라는 20.5% 오른 8만 92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여행주 하나투어(10.4%), 모두투어(8.2%), 노랑풍선(27.7%) 등도 줄줄이 오름세를 나타냈다.

이들 업체가 ‘중국 특수’를 입을 거란 기대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중국 문화관광국은 지난 10일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 78개국에 대한 자국민 단체여행을 이날을 기점으로 전면 허용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한국·일본·미얀마·튀르키예·인도 등 아시아 12개국, 미국·멕시코 등 북중미 8개국, 콜롬비아·페루 등 남미 6개국에 대한 중국인의 단체여행이 가능해졌다. 유커의 한국행이 전면 재개된 것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중국이 한국행 단체 비자 발급을 중단한 2017년 3월 이후 6년 5개월 만이다.

사드 사태 직전인 2016년만 하더라도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806만명에 달했으나 2017년 75만명으로 크게 줄었으며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지난해 23만명으로 쪼그라들었다.

중국은 올해 초 코로나19 방역 정책을 폐지한 뒤 전 세계 60개국에 대한 단체여행 빗장을 풀면서도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등에 대해서는 여행금지 조치를 매번 유지한 바 있다.

업계는 중국 현지 단체관광 상품 기획에서 판매까지 걸리는 시간을 고려할 때 10월 이후 유커가 본격적으로 유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인 입국자가 올해 300만명에 육박할 정도로 불어난 뒤 내년에는 600만명에 도달할 거란 관측도 나온다.
김성은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