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오르면 은퇴 빨라져… 年 10% 오를 때 근로 1시간 감소

집값 오르면 은퇴 빨라져… 年 10% 오를 때 근로 1시간 감소

김승훈 기자
입력 2022-02-09 18:06
업데이트 2022-02-10 03: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주택가격·노동공급 영향조사
경제활동참가율 34.1%→ 32.3%
자영업자보다 임금노동자에 작용

주택을 보유한 고령층은 집값이 오르면 은퇴 확률도 덩달아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동산 공급·세금 정책, 금리 등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겠지만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은 현 정부 들어 고령자 은퇴 시기가 더 짧아지고 많아졌을 개연성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9일 한국은행이 2006년 기준 55~77세 고령자 3664명을 대상으로 12년간(2006~2018년) 보유 주택 가격과 노동 공급 상황을 추적 조사한 보고서 ‘주택의 자산가치 변화가 고령자의 노동 공급과 은퇴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집값이 1년간 10% 상승하면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4.1%에서 32.3%로 1.8% 포인트 줄었고, 은퇴 확률은 65.7%에서 67%로 1.3% 포인트 높아졌다. 근로시간은 18시간에서 17시간으로 약 1시간(6.1%) 감소했다.

보유한 집값이 예상보다 더 많이 오르면 은퇴자도 더 많이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집값이 과거 3년간 가격 추이를 바탕으로 예상한 수준보다 10% 포인트 더 오르면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근로시간은 각각 6.5% 포인트, 6.4% 포인트 감소하고 은퇴 확률은 4.8% 포인트 커졌다. 집값이 과거 3년간 매년 2%씩 오르다가 어느 해 갑자기 12%로 껑충 뛰어 가격 상승폭이 10% 포인트 높아지면 고령자 은퇴가 더 많아진다는 의미다.

집값 변화가 은퇴 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자영업자보다는 임금근로자에게, 실질 은퇴 연령인 72세에 가까울수록 더 크게 작용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정종우 한은 미시제도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주택 자산 가치의 변화가 고령자의 노동 공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면서 “우리나라 고령층의 노후가 부동산 경기 변동과 연관성이 높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70%에 이르고, 고령 가구로 갈수록 주택 소유율이 높기 때문에 집값이 노동 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해외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는 게 정 부연구위원의 설명이다.
김승훈 기자
2022-02-10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