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화장품서 ‘아토피’ 빠진다…‘가려움 개선’으로 변경

기능성 화장품서 ‘아토피’ 빠진다…‘가려움 개선’으로 변경

김태이 기자
입력 2019-12-14 10:34
수정 2019-12-14 1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식약처, 화장품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입법예고…내년 시행

이미지 확대
아토피와 각종 피부질환의 치료방법은 대부분 병원에서 처방 받은 스테로이드와 항히스타민제로, 개선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내성이나 부작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각종 민간요법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도 있어 치료방법에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아토피와 각종 피부질환의 치료방법은 대부분 병원에서 처방 받은 스테로이드와 항히스타민제로, 개선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내성이나 부작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각종 민간요법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도 있어 치료방법에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의 범위에서 ‘아토피 피부염 완화 기능’ 표현이 빠진다. 현행 아토피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이란 표현이 의약품으로 오인할 소지를 차단하기 위해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런 내용의 ‘화장품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하고 2020년 1월 20일까지 의견을 받고서 공포 후 시행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아토피 완화 기능성 화장품에서 의약품 오인 소지가 있는 ‘아토피’ 단어를 삭제하고 제품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표현으로 수정했다.

이에 따라 현행 ‘아토피성 피부의 건조함 등의 완화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은 ‘손상된 피부 장벽을 회복함으로써 가려움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변경된다.

개정안은 다만 기능성 화장품에 표기할 수 있는 아토피, 탈모, 여드름 등 피부과 질환 중에서 아토피만 제외하고 탈모와 여드름은 그대로 유지했다.

이에 앞서 식약처는 2017년 5월 30일 기능성 화장품의 종류를 큰 폭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개정 화장품법과 시행령·시행규칙, 개정 기능성 화장품 심사 규정 등을 시행했다.

이들 법안은 기능성 화장품에 미백, 주름 개선, 자외선 차단에 이어 탈모 완화, 여드름성 피부 완화, 아토피성 피부 보습 등을 추가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렇게 기능성 화장품에 아토피, 탈모, 여드름 등 피부질환을 표기할 수 있도록 하자 질병 이름을 표시한 화장품이 마치 해당 질병에 의학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오인하거나 화장품에 의존해 치료 시기를 놓치고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며 학계와 환자단체가 우려의 목소리를 많이 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