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혼밥’에 흔들…음식점업 사업자 비중 10% 첫 붕괴

‘최저임금·혼밥’에 흔들…음식점업 사업자 비중 10% 첫 붕괴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5-10 09:17
업데이트 2018-05-10 09: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저임금 인상 앞둔 작년 12월 0.04%p ‘뚝’…빠른 하락세 지속

올해 1월 큰 폭의 최저임금 인상을 앞두고 전체 사업자에서 음식업 사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처음으로 10% 밑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중구 명동의 한 나들이객이 한 음식점 앞에 걸린 가격표를 들여다보고 있는 모습.  뉴스1
서울 중구 명동의 한 나들이객이 한 음식점 앞에 걸린 가격표를 들여다보고 있는 모습.
뉴스1
1인 가구 증가, ‘혼술·혼밥’ 문화 확산 등 구조적 요인에 최저임금 인상까지 겹치면서 서민의 대표 창업 업종으로 꼽히는 음식업이 빠르게 위축되는 모습이다.

10일 국세청의 사업자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음식업 사업자는 72만9천724명으로 전달(73만3천442명)보다 3천718명(0.51%) 감소했다.

전체 사업자는 같은 기간 731만4천176명에서 730만8천536명으로 5천640명 줄었다.

전체 사업자 감소분의 3분의 2가 음식업에서 나온 셈이다.

음식업 사업자가 다른 업종에 비해 큰 폭으로 줄면서 음식업 사업자 수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98%를 기록, 사상 처음으로 10% 밑으로 떨어졌다.

음식업 사업자는 올해 1월 1천555명 소폭 늘어났지만 전체 사업자 증가 폭(4만5천691명)의 3% 수준에 그치면서 비중은 9.94%로 더 떨어졌고 2월에는 9.91%까지 낮아졌다.

지난해 12월 음식업 사업자 수가 큰 폭으로 줄어든 데에는 최저임금 인상이 주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

올해 1월 최저임금 인상을 앞두고 높은 상승률(16.4%)에 부담을 느낀 영세 사업자들이 서둘러 사업을 접었거나 창업을 포기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음식업 사업자의 빠른 감소세는 이전 같은 시기와 비교해도 확연하게 두드러진다.

음식업 사업자는 2015년 12월에는 전달보다 855명(1.2%) 늘었고 2016년 12월에는 553명(-0.08%) 감소하는 데 그쳤다.

최저임금 인상이 음식업 등 서민 업종에 미친 영향은 지난해 12월 고용 시장에서도 뚜렷하게 감지됐다.

지난해 12월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만8천 명 감소하면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음식업 사업자 수는 전반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1인 가구 증가, 혼술·혼밥 문화 확대 등 구조적인 요인으로 전체 사업자보다 증가 폭은 점차 둔화하는 추세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5년 8월 전체 사업자에서 음식점 사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0.61%였지만 매달 0.02∼0.03%p(포인트)씩 하락하고 있다.

음식점 사업자 비중 하락 폭은 지난해 12월 0.043%p로 역대 최대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1월과 2월에도 비슷한 수준(0.041%p·0.032%p)을 이어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