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근로시간 단축, 구인난 가중되고 납품기일 맞추기 난감”

중기 “근로시간 단축, 구인난 가중되고 납품기일 맞추기 난감”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2-27 14:50
업데이트 2018-02-27 14: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상공인 “소득 줄어들 것…특례업종 확대해달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업계는 2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근로시간 단축법안이 통과된 데 대해 가뜩이나 심한 인력난이 악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레미콘 제조업체인 한국레미콘의 김윤기 대표는 “레미콘 공장의 경우 근무 환경이 열악한 편이어서 구인 광고를 해도 사람이 오지 않는다”며 “이런 상황에서 근로시간까지 단축하면 납기를 어떻게 맞출 수 있겠느냐”고 토로했다.

김 대표는 “우리에게 ‘갑’인 건설업체가 제품이 언제까지 필요하다고 하면 우리는 현장에서 지장이 없도록 제품을 제때 공급해야 하는데, 근로시간 단축이 현실화되면 그 요구를 어떻게 맞출 수 있을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심승일 중소기업중앙회 부회장은 “중기업계 전반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사람도 구하기 힘든데 근로시간까지 단축되면 정말 힘들어진다”고 말했다.

심 부회장은 특히 “금형 같은 뿌리 산업 분야는 납기를 맞추려면 특정 시기에 일을 많이 해야 하고, 그 덕분에 다른 나라보다 경쟁력을 확보해 발주를 많이 받을 수 있었던 것인데 이런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고 걱정했다.

국회 환노위는 이날 주당 법정 근로시간을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하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다만 산업계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기업 규모별로 시행 시기를 차등 적용하기로 했다.

종업원 300인 이상의 사업장과 공공기관은 오는 7월 1일부터 ‘주당 근로시간 52시간’을 지켜야 한다. 50∼299인 사업장과 5∼49인 사업장은 각각 2020년 1월 1일, 2021년 7월 1일부터 법을 적용한다.

30인 미만의 사업장에 대해선 2022년 12월 31일까지 노사 간 합의에 따라 특별연장근로 8시간을 추가 허용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영세 기업들의 구조적·만성적 인력난이 2022년 말까지 다 해소되기 어려운 만큼 정부가 현장 인력 실태를 지속해서 점검하고 인력공급 대책과 설비투자 자금 등 세심한 지원책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소상공인업계도 최저임금 인상에 더해 근로시간까지 단축되면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며 우려했다.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식당 등 현장에서는 주중보다는 주말에 아르바이트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인데 근로시간을 줄이면 저녁과 주말 장사를 하기 힘들게 되는 등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소상공인 업종에 한해서는 고용주와 근로자가 합의 시 근로시간 연장을 인정해야 한다”며 “특례업종을 전체 소상공인 업종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회 환노위는 근로시간 단축법안에서 사실상 무제한 근로가 가능하도록 허용했던 ‘특례업종’을 기존 26종에서 21종을 폐지하고 5종(육상운송업, 수상운송업, 항공운송업, 기타운송서비스업, 보건업)만 유지하기로 했다.

최 회장은 또 “소상공인 업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은 취약 계층이나 단기 아르바이트생이 많다”며 “근로시간 단축 시 이들의 소득이 줄어드는 문제도 걱정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