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심 좀먹은 애플

양심 좀먹은 애플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7-12-29 22:50
업데이트 2017-12-30 03: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배터리 게이트’ 애플의 오만

구형 아이폰 강제 성능 저하 1년여 만에 사과했지만 “오해”라며 발뺌
이미지 확대
미국 애플이 28일(현지시간) ‘구형 아이폰 고의 성능 저하’ 논란에 대해 결국 공식 사과했다. 하지만 고의로 성능을 떨어뜨렸다는 것은 여전히 “오해”라는 태도다. 배터리 교체비용 지원 등 수습책도 내놨지만 고객 눈높이에 못 미치는 데다 ‘잘못은 없지만 사과한다’는 식이어서 거센 역풍을 맞고 있다. 비슷한 ‘배터리 게이트’를 겪은 삼성전자의 수습 행보와 사뭇 대조된다.

애플은 이날 홈페이지에 “구형 배터리를 가진 아이폰의 성능처리 방법과 그 과정을 전달한 방식에 대한 고객들의 피드백(반응)을 들었다. 사용자를 실망시켰다는 것을 알고 있고 사과한다”는 글을 띄웠다. 그러나 고의 성능 저하는 “오해”라고 일축했다. 애플은 “우리는 결코 제품 수명을 의도적으로 단축하거나 사용자 환경을 저하해 고객 업그레이드를 유도하지 않았다”면서 “모든 충전식 배터리는 화학적 수명이 다해 가면 효율성이 떨어져 일부 상황에서 기기가 스스로 꺼질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애플은 후속 조치로 배터리 교체 비용을 새해 1월부터 개당 79달러에서 29달러로 50달러(약 5만 3000원) 인하하겠다고 밝혔다. 새 배터리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지 알려 주는 운영체제(iOS)도 업데이트하기로 했다. 하지만 일부 소비자들은 “성능을 떨어뜨려 놓고 배터리 마진까지 챙기냐”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집단소송도 세계 각국으로 확산돼 가는 양상이다. 앞서 미국에서는 애플의 시가총액을 웃도는 9999억 달러(약 1076조원) 배상 요구 집단소송이 캘리포니아 연방법원에 제기됐다. 국내에서 법무법인 한누리가 진행하는 소송은 이날 현재 신청자가 3만 4000명을 넘어섰다. 애플이 자사 고객의 로열티(충성도)가 유난히 강하다는 점을 믿고 안이하다 못해 오만하게 대처한다는 지적마저 나오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러한 애플의 대응은 삼성전자의 발 빠른 대처와 비교된다. 지난해 8월 야심차게 내놓은 신제품 ‘갤럭시노트7’의 발화 사례가 처음 접수되자 삼성은 8일 만에 배터리 결함을 공식 시인하고, 전량 리콜(교환)에 들어갔다. 10월에는 끝내 단종을 결심하고 생산을 아예 중단했다. 갤럭시노트7을 갖고 있는 소비자가 후속작인 노트8로 바꾸면 기존 할부금의 50%를 면제해 주기로 하고 ‘갤럭시S8’ 등 신제품도 서둘러 내놨다. 여세를 몰아 새해 2월에는 스페인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 신작 ‘갤럭시S9’을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정보기술(IT) 업계 관계자는 “삼성은 제조상 결함으로 인한 안전 문제였고 애플은 운영체제 업데이트 과정의 고의적인 성능 저하 의혹이라는 점에서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신뢰 회복을 풀어 가는 방식에 차이가 극명한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이런 와중에도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보다 47% 늘어난 1200억원대 월급봉투를 챙긴다. 블룸버그통신은 팀 쿡이 2017 회계연도 기준 933만 달러의 인센티브와 급여 306만 달러, 주식상여금 8920만 달러 등 총 1억 200만 달러(약 1286억원)를 벌어들였다고 전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7-12-30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