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증여자산도 노후 생활비도 ‘오로지 부동산’

상속·증여자산도 노후 생활비도 ‘오로지 부동산’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7-12-28 18:02
업데이트 2017-12-29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나금융경영硏 설문조사

상속이나 증여받은 자산의 상당 부분이 부동산 투자에 쓰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후 생활비를 마련할 때도 보유 부동산을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믿을 건 부동산’이라는 고정관념이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이미지 확대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최근 10년 이내 상속·증여를 경험한 보유자산 3억원 이상 개인 5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설문조사를 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8일 밝혔다.

하나금융포커스에 실린 ‘자산이전에 대한 고객 인식과 시사점’에 공개했다. ‘자산이전’이란 자녀의 결혼 등을 앞두고 자금을 지원하는 증여나 상속 등을 말한다.

응답자 가운데 38.2%는 증여나 상속을 받은 뒤 ‘실거주 목적의 주택 마련 자금으로 사용했다’고 답했다.

증여와 상속분을 투자하거나 저축했다는 응답은 34.7%였다. 이 중 부동산 투자가 40.8%로 1위를 차지하고, 예·적금(33.9%), 보험·연금(12.2%), 주식(6.7%) 등이 뒤를 이었다. 즉 전체 증여·상속자 중 부동산 투자는 14.16%, 예·적금은 11.76%, 보험·연금은 4.23%였다.

응답자 중 48.6%가 자산이전의 목적으로 자녀의 자산 증식을 꼽았다. 사망 후 가족 간 분쟁을 축소하려는 의도는 32.2%, 절세 효과는 12.0%였다. 자녀의 효심 자극은 6.6%로 집계됐다.

은퇴로 노후 생활비가 부족할 때 가장 선호하는 자금 마련처도 부동산이었다. 주택연금을 받겠다는 응답자 비중이 37.0%로 가장 컸고, 부동산을 축소해 생활비를 확보하겠다는 응답은 33.0%였다. 부동산 담보 대출을 일으켜 생활비로 쓰겠다는 답변은 12.4%였다. 금융자산 활용 후 자녀 도움을 받겠다는 응답은 17.6%에 불과했다.

한편 설문 대상자의 ‘희망 은퇴연령’은 68.3세였지만, 실제 은퇴 연령은 63.5세로 약 4.8년 빨랐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12-29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