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면 사랑’…“라면 제외하고도 5일에 한번 면류 먹었다”

‘한국인의 면 사랑’…“라면 제외하고도 5일에 한번 면류 먹었다”

강경민 기자
입력 2017-12-28 14:07
업데이트 2017-12-28 1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난해 라면을 제외하고도 1인당 5일에 한 번씩 면류를 먹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2017 라면을 제외한 면류 시장 현황 보고서를 28일 발간했다.

면류는 국수, 냉면, 당면, 파스타류, 기타 면류, 유탕면 등으로 분류된다. 라면은 시장 규모가 너무 커 별도로 구분된다.

지난해 국민 1인당 연간 면류 소비량(국내판매량 + 수입량)은 7.7㎏으로 나타났다.

국민 1인당 연간 면류 소비량을 그릇 단위로 환산(1인분 110g)하면 69.9그릇이다. 라면을 제외하고도 국민 1명이 약 5일에 한 번씩 면류를 먹은 셈이다.

면류는 기업과 기업 간 거래(B2B) 비중이 60∼70%,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비중은 30∼40%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기준 면류 소매시장 규모는 2천134억 원으로 2014년 1천917억 원보다 11.3% 증가했다.

다양한 종류의 간편식 면류 제품이 출시되면서 시장이 점점 커지는 추세다.

분기별로는 여름철(2·3분기) 판매액이 높게 나타났고 2014년 1천56억 원에서 2015년 1천205억 원, 지난해 1천273억 원으로 여름철의 면류 판매 규모가 계속 증가했다.

제품 카테고리별로는 상온면 매출의 증가율이 냉장면 매출 증가율보다 컸다. 지난해 판매액 기준 냉장면이 83.2%, 상온면이 16.8%의 비중을 차지했다.

소매채널별로는 할인점(34.4%), 체인슈퍼(26.3%), 독립슈퍼(25.1%), 편의점(9.6%), 일반식품점(4.6%) 순으로 많이 팔렸다.

다른 채널의 매출점유율은 전년 대비 하락했으나 편의점 매출점유율이 유일하게 1.3%포인트 늘어났다.

소비자들이 주로 구입하는 제품유형은 ‘건면으로 포장된 제품’(40.6%)이었으며 ‘생면+소스가 동봉된 제품’(26.8%)이 뒤따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