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대책 이어져도 서울 아파트값 계속 상승

부동산대책 이어져도 서울 아파트값 계속 상승

신성은 기자
입력 2017-12-22 11:35
업데이트 2017-12-22 1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도시·경기 전셋값은 입주물량 증가로 하락세

이미지 확대
서울 강남구 일대 대형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강남구 일대 대형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오름폭은 다소 둔화했다.

22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25% 올랐다.

지난주 임대주택 등록을 유도하기 위한 ‘임대차 로드맵’이 발표됐으나 아직 다주택자들은 매도, 보유, 등록, 증여 등의 선택지를 놓고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주요 아파트 단지는 매물 부족 현상이 이어지면서 상승세가 이어졌다. 다만 오름폭은 지난주(0.26%)보다 소폭 둔화했다.

재건축 아파트 시장에는 투자수요들이 꾸준히 몰리면서 0.51% 상승해 지난주(0.27%)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일반 아파트값은 지난주 0.26%에서 금주 0.20%로 상승 폭이 줄었다.

강남구가 0.53%로 가장 많이 올랐고 양천(0.43%)·강동(0.40%)·성동(0.37%)·중구(0.30%)·송파(0.29%)·서초구(0.25%) 순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는 이주가 임박하면서 2천만∼4천만원 가량 올랐다. 대치동 은마아파트도 재건축 기대감이 반영되며 1천500만∼2천만원 상승했다.

이주가 막바지에 접어든 강동구 둔촌 주공1단지는 매수세가 꾸준히 몰리면서 500만∼2천500만원 올랐다.

신도시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3% 오른 가운데 판교(0.10%)·광교(0.10%)·평촌(0.07%) 등이 오름세를 나타냈다.

판교는 테크노밸리 확장과 판교역 일대 투자유치 등 개발 호재가 잇따르면서 삼평동 봇들마을4단지, 운중동 산운마을10단지 등이 1천만원가량 상승했다.

이에 비해 산본은 매수세가 주춤하면서 0.09% 하락했다.

경기·인천의 아파트값은 0.01% 하락했다. 오산(-0.35%)·화성(-0.06%)·시흥(-0.03%)·수원(-0.03%)·군포(-0.03%) 등 입주물량이 집중된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내려갔다.

전셋값은 서울이 0.07% 올랐고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각각 0.02%, 0.07% 하락했다.

서울은 새 아파트 중심으로 가격이 오른 마포구가 0.55%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또 은평구가 0.16% 상승했고, 동작(0.10%)·양천(0.10%)·성동(0.09%)·서초(0.08%)·송파구(0.08%) 순으로 상승했다.

신도시는 산본(-0.31%)·중동(-0.08%)·동탄(-0.06%)·일산(-0.05%) 등이 약세를 보였고, 경기·인천 지역에선 오산(-0.62%)·안양(-0.26%)·안성(-0.24%)·부천(-0.24%)·구리(-0.24%)·광주(-0.22%) 등의 낙폭이 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