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꺾였나…4월 산업생산, 15개월만에 최대폭 감소

반도체 꺾였나…4월 산업생산, 15개월만에 최대폭 감소

입력 2017-05-31 09:16
업데이트 2017-05-31 1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업생산 전월보다 1.0%↓이른 더위·미세먼지에 소매판매 0.7%↑

그동안 호조를 보였던 반도체 생산이 전월대비 감소하면서 전체 산업생산이 1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광공업 생산도 줄었고 서비스업 생산은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4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1.0% 줄었다.

산업생산은 2월에 전월대비 0.3% 줄었다가 3월 1.3% 증가로 반등했지만 2개월 만에 다시 감소세로 전환됐다.

4월 감소 폭은 지난해 1월(-1.5%)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컸다.

광공업 생산이 전월보다 2.2% 줄어든 탓이 컸다.

특히 그간 산업 전반의 상승세를 이끌던 반도체(-9.2%)가 감소세로 돌아섰고 자동차(-2.6%)도 줄었다.

서비스업 생산은 0.1% 증가하는 데 머물렀다.

도소매(0.7%), 금융·보험(0.7%)은 늘었지만 증가 폭이 크지 않았고 전문·과학·기술(-2.2%), 교육(-1.1%)에서 감소 폭이 컸던 탓이다.

제조업 재고는 전달보다 2.7% 증가했고 제조업평균 가동률은 1.1%포인트 떨어진 71.7%를 기록했다.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는 0.7%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3월(-0.1%) 마이너스였다가 가전제품, 의복 등 판매 호조에 힘입어 플러스 전환에 성공했다.

이른 더위 탓에 냉방기기가 잘 팔렸고 미세먼지 때문에 공기청정기 판매가 호조를 보이면서 내구재(2.7%) 판매가 호조였다.

의복 등 준내구재(1.9%) 판매도 늘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운송장비 투자가 줄면서 4.0% 감소했다.

국내 기계수주는 공공, 전자 및 영상음향통신업 등에 힘입어 작년 같은 달보다 43.7% 증가했다.

이미 이뤄진 공사실적을 의미하는 건설기성은 전월보다 4.3% 감소했다.

건설수주(경상)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7% 늘었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과 같았고 앞으로의 경기 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2포인트 상승했다.

통계청은 이달 산업생산 수치가 저조한 것은 3월 생산이 좋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 측면이 크다고 보고 있다.

3월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1.3% 늘었고 설비투자는 13.3%나 증가한 바 있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생산은 상대적 반락이라고 보고 있다”며 “반도체 생산 등이 주춤하긴 했지만 생산 증가세가 꺾인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