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QLED vs LG OLED … ‘차세대 TV 한류’ 주인공은

삼성 QLED vs LG OLED … ‘차세대 TV 한류’ 주인공은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7-04-14 22:34
업데이트 2017-04-14 2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 中 국제포럼 참가… 현지기업 협업
LG ‘나노셀 기술’ 中·日 제조사들 채택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차세대 TV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판 키우기’에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에서 퀀텀닷(양자점) 기반의 QLED TV 시장 확대를 위한 행보를 시작했고, LG전자가 주도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와 나노셀 TV 기술은 중국과 일본 제조사들이 연이어 채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13일 중국 베이징에서 중국 전자상회 주관으로 열린 ‘QLED 국제포럼’에 참가했다고 14일 밝혔다. 삼성전자 외에도 중국 하이센스, TCL 등 TV 제조사와 궈메이, 쑤닝 등 유통업계, 중국 학계와 정부기관이 참가했다. 하이센스와 TCL은 2014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 2014’에서 처음 퀀텀닷 TV를 공개했다.

퀀텀닷 입자에 메탈 공정을 더한 QLED TV를 올해 처음 세계 시장에 내놓은 삼성전자는 이날 포럼에서 중국 TV 제조사와 유통사, 학계 등과 함께 QLED TV의 확산을 위해 협업하기로 했다.

LG전자가 주도하는 OLED TV와 나노셀 TV는 최근 중국과 일본 제조사들로 확산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소니와 파나소닉, 창훙, 필립스 등 13개 제조사들이 OLED TV를 출시할 예정이다. 소니는 ‘브라비아 OLED AE1 시리즈’를 이달부터 판매하기 시작했다.

최상위인 65인치대 모델의 가격은 6500달러(약 710만원)다. 중국 스카이워스는 지난 12일 65인치형 OLED 월페이퍼형 TV를 공개했다. LG전자의 ‘시그니처 올레드 TV W’와 유사한 제품으로, 가격은 LG전자 제품보다 더 높은 9만 9999위안(약 1660만원)으로 책정해 프리미엄 시장을 정조준했다.

LG전자가 LCD(액정표시장치) TV의 최상위 모델로 내놓은 나노셀 TV의 기술도 창훙 등 중국 기업들이 채택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세계 TV 업계가 차세대 TV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삼성전자와 LG전자 기술을 제각각 채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7-04-15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