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공공요금 성실 납부자 9%만 신용등급 상승

통신·공공요금 성실 납부자 9%만 신용등급 상승

입력 2016-12-21 09:12
업데이트 2016-12-21 09: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들어 5천553명 신용등급 올라 “납부 실적 여러건 제출 때 가점 확대 검토”

통신·공공요금을 납부기한 내 성실히 냈다는 증거를 제출해 지난 10개월간 5천133명의 신용등급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비금융 거래정보를 개인신용평가사(CB사)에 제출한 100명 중 9명만 신용등급이 상승하는 효과를 봤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1월 말부터 11월 말까지 모두 6만5천396명이 통신·공공요금 납부 실적을 CB사에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중 5만6천54명(85.7%)의 신용 평점이 상승했다.

그러나 신용등급까지 올라간 사람은 5천553명으로 8.5%에 그쳤다.

금감원은 통신·공공요금을 6개월 이상 성실히 냈다는 증빙자료를 CB사에 제출하면 개인신용평가 때 가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가점을 부여하는 자료는 통신요금, 공공요금(도시가스·수도·전기),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등이다.

거래정보 종류나 납부 기간에 따라 5∼15점의 가점을 받을 수 있다.

금감원은 제도를 도입하면서 최소 212만명에서 최대 708만명이 신용등급 상승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는데, 아직까진 효과가 저조한 편이다.

금감원은 제도가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신용등급 상승효과를 본 사람이 많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성실 납부 실적이 쌓일수록 가점이 늘어나기 때문에 신용등급이 오르는 사람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설명이다.

금감원은 성실 납부 실적을 꾸준히 제출한 소비자의 신용등급이 높아질 수 있도록 가점 상승 폭을 확대하기로 했다.

비금융 거래정보로 인한 신용 평점 상승 폭이 최대 15점이라 30~100점인 등급 간 간격을 뛰어넘기 힘들기 때문이다.

비금융 거래정보는 6개월에 한 번씩 계속해서 제출해야 신용평가에 반영된다.

통신·공공요금 납부 실적을 여러 건 제출하면 가중치도 부여할 계획이다.

또 6개월마다 납부 실적을 제출해야 하는 불편이 없도록 정보제공에 동의한 소비자의 납부 정보는 통신회사나 공공기관이 바로 CB사에 제공하도록 해당 기관과 협의하기로 했다.

최성일 금감원 IT·금융정보보호단 국장은 “개인신용등급은 단기간 내 개선하기가 쉽지 않은 특성이 있다”며 “신용등급 향상을 위해 다소 번거롭더라도 통신·공공요금 납부 실적을 CB에 꾸준히 제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비금융 거래정보 제출 실적을 보면 건강보험 납부 실적 제출 건수가 4만5천236건(41%)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연금이 4만4천747건(41%)으로 뒤를 이었다.

국민연금·건강보험은 CB 홈페이지에서 공인인증서로 본인 확인을 하면 납부 실적이 자동으로 접수된다.

통신요금은 납부 실적을 팩스 등으로 제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접수 건수가 1만4천817건(14%)에 그쳤다. 가스(2.2%), 전기(1.5%), 수도요금(1.1%) 제출 비중도 저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