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켈 검출 코웨이 정수기…정부 “100개 중 최소 22개 도금손상”(종합)

니켈 검출 코웨이 정수기…정부 “100개 중 최소 22개 도금손상”(종합)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9-12 18:35
업데이트 2016-09-12 18: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오종극(왼쪽) 환경부 상하수도정책관과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제품안전정책국장이 12일 정부세종청사 산업부 기자실에서 코웨이 3종 얼음정수기 일부 제품의 니켈 검출 결함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세종 연합뉴스
오종극(왼쪽) 환경부 상하수도정책관과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제품안전정책국장이 12일 정부세종청사 산업부 기자실에서 코웨이 3종 얼음정수기 일부 제품의 니켈 검출 결함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세종 연합뉴스
‘니켈 검출’ 논란이 일었던 코웨이 얼음정수기 3종에 대해 정부가 2개월 동안 조사한 결과 냉각구조물 100개 중 최소 22개에서 니켈 도금이 손상됐다고 밝혔다.

다만 3종의 얼음정수기에서 검출된 최고 수준 농도의 니켈이 함유된 물을 마셨을 경우 장·단기 모두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됐다. 미국 환경청(US EPA) 기준 어린이 단기(10일 이내) 권고치(1mg/L)와 장기(7년 음용 기준) 권고치(0.5mg/L)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환경부, 한국소비자원으로 구성된 민관합동 제품결함 조사위원회는 니켈 검출 논란을 빚은 코웨이 얼음정수기 3종(C(H)PI-380N·CPSI-370N·CHPCI-430N)을 조사한 결과 “해당 정수기 냉각구조물의 구조·제조상 결함으로 증발기의 니켈도금이 벗겨진 것으로 드러났다”고 12일 밝혔다.

냉각구조물은 제빙 기능을 하는 증발기, 탈 빙기 능을 하는 히터, 정수한 물을 흘려 냉수를 만드는 냉수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문제의 정수기는 협소한 냉각구조물 틀에 증발기와 히터를 측면 접촉하도록 조립하게 돼 있는 탓에 조립 과정에서 니켈도금이 벗겨지는 손상이 발생했다.

조사위가 냉각구조물 100개를 분해한 결과 증발기와 히터 간 접촉부에서 스크래치 등의 도금 손상이 육안으로만 22개의 구조물에서 발견됐다.

구조적으로도 증발기와 히터가 냉수플레이트 안에 갇혀 공기가 통하지 않고 상호 압축·밀착 상태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제빙(냉각온도 -18도)과 탈빙(가열온도 120도) 등이 반복되면서 증발기와 히터가 압축·팽창하다 보니 니켈도금층이 손상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부식이 가속화된 것이다.

3종 얼음정수기에서 검출된 니켈의 농도는 최고 0.386mg/L였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음식물로 섭취되는 니켈의 1일 섭취량은 0.2mg 이하, 먹는 물로 인한 1일 평균 섭취 추정량은 0.03mg 이하로 추정된다.

70년간 매일 2L씩 마신다면 일부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종 얼음정수기는 2014년부터 판매된 제품으로 소비자가 실제로 사용한 기간은 2년 안팎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3종 제품에 대해서는 제품 수거 등의 행정처분을 내릴 예정이다.

지난 2년간 판매한 3종 얼음정수기는 모두 약 10만대다.

코웨이가 자발적 리콜을 통해 해당 제품의 96% 이상을 자체 회수했다. 나머지 4000대가량은 소비자와의 연락두절 등을 이유로 회수되지 않았다.

정부는 아직 수거되지 않은 제품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점검키로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