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가공식품 유통채널별 가격 차 커…대형마트 저렴

주요가공식품 유통채널별 가격 차 커…대형마트 저렴

입력 2016-03-14 08:45
업데이트 2016-03-14 08: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소비자원은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www.price.go.kr)으로 수집한 2월 생필품 판매가격을 분석했더니 주요 가공식품의 평균 장바구니 가격이 유통채널별로 최대 7.6%까지 차이가 났다고 14일 밝혔다.

주요 가공식품은 조사대상 판매점에서 많이 팔리는 순창 우리쌀 찰고추장·신라면·서울우유 흰우유 등 상위 12개 상품이다.

이들 12개 제품의 평균 구입 가격을 살펴보면 대형마트가 4만2천139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전통시장(4만2천981원)과 기업형슈퍼마켓(SSM, 4만3천938원), 백화점(4만5천354원) 순이었다.

특히 조사 대상 제품 가운데 ‘옛날국수소면’은 유통채널별로 최고·최저 가격 차가 564원(26.4%)으로 가장 컸다.

12개 가공식품의 최저가 판매점은 전통시장이 5개로 가장 많았고 대형마트 3개, 기업형 슈퍼마켓(SSM)과 백화점이 각각 2개였다.

생필품 가운데 2월 중 최고·최저 가격 차이가 가장 컸던 상품은 LG생활건강 ‘더블리치 간편염색’(4G 자연갈색, 80g)으로 유통채널에 따라 값이 5.3배 차이가 났다.

이어 ‘델몬트 스카시 플러스 100’(1.5L)(4.6배)과 아모레퍼시픽 ‘미장센 펄샤이닝모이스쳐 샴푸·린스’(780㎖), ‘포스트 콘푸라이트(600g)’(3.9배)도 가격 차가 컸다.

품목별 가격동향을 1월과 비교해 살펴보면 배추(34.1%)·무(32.7%)·바디워시(11.5%)·세면용비누(11.4%) 등은 값이 올랐고 키친타월(-5.1%)·과일주스(-4.7%)·돼지고기(-4.1%)·두유(-3.7%) 등은 가격이 내렸다.

한국소비자원은 주간 단위로 생필품 가격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같은 제품이라도 판매점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큰 만큼 생필품을 사기에 앞서 참가격 사이트에서 판매가격과 할인정보 등을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