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상속·증여 자산 42%… 금수저는 있다

상속·증여 자산 42%… 금수저는 있다

오세진 기자
입력 2015-11-17 23:34
업데이트 2015-11-18 03: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80년대 27%보다 급증… 재산 형성에 저축 기여율은 19 →12% 뚝

‘부(富)의 대물림’ 현상이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모의 재산에 따라 자식의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결정된다는 이른바 ‘수저 계급론’이 더욱 공고해질 전망이다.

17일 김낙년 동국대 경제학과 교수의 ‘한국에서의 부와 상속, 1970~2013’ 논문에 따르면 자산 형성 과정에서 부모 등으로부터 상속·증여를 받은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에 27.0%였던 상속·증여의 비중은 1990년대 29.0%로 오르더니 2000년대에는 42.0%까지 치솟았다. 축적한 자산이 100만원이라고 한다면 부모에게 상속·증여받은 자산이 1980년대 27만원에서 20년 만에 42만원으로 불어난 것이다. 국민소득 대비 연간 상속액의 비율도 1980년대 연평균 5.0%에서 2000년대에 6.5%로 높아졌다. 2010~13년 평균은 8.2%로 조사됐다.

반면 자산에서 저축이 차지하는 비중은 1980년대 19.1%에서 2000년대 12.1%로 줄었다. 김 교수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고도성장기에는 청년들이 취업, 저축 등을 통해 소득을 스스로 창출할 기회가 많았지만 지금과 같이 고령화가 본격화하고 저성장기에 접어든 상황에서는 취업도 어렵고, 그에 따라 저축도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모의 재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수십 년간 이런 상속 비중의 상승세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논문은 “한국에서 1980~90년대 상속·증여가 자산 형성에 기여한 비중이 작았던 것은 서구 사회보다 상대적으로 고령화가 덜 진행돼 사망률이 낮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한국경제가 1980년대 연평균 8.8%, 1990년대 7.1%의 고도성장을 달린 것도 상속 자산의 기여도가 다른 나라보다 낮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한국에서 상속 비중이 오르고 있다고 해도 2000년대 기준으로 영국(56.5%), 프랑스(47.0%) 등 다른 선진국보다는 아직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고령화·저성장의 여파로 상속 자산 기여도가 가파르게 높아져 머지않아 서구 국가들을 따라잡거나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김 교수는 예측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5-11-18 2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