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나치게 까다로운 잣대” “우리 회사에 불똥 튈라”

“정부 지나치게 까다로운 잣대” “우리 회사에 불똥 튈라”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5-09-24 00:02
업데이트 2015-09-24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우건설 중징계’ 업계 반응

대우건설 분식회계에 대해 회계 처리 기준 위반에 따른 중과실이지만 고의성은 없었다는 증권선물위원회(이하 증선위)의 결정이 나오면서 23일 건설업계는 향후 불똥이 업계에 튈까 파문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2년간 정부가 결론을 내려주지 않으면서 국내외 수주에 지장을 받았지만 이제라도 결론이 나 다행”이라면서 “시장상황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지 모를 아파트 수익성 등에 대해 적정한 회계 검토를 거치지 않은 리스크를 회계에 반영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2012년 대손충당금 계상 문제로 금융감독원이 문제제기를 한 것은 2013년 12월이다. 대우건설 직원은 비정규직을 포함해 6500명(임직원 4700명), 협력업체는 100만명에 달한다.

건설업계는 증선위의 결정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아 놓은 대우건설에서 시작된 정부의 ‘회계 사정’에 불안한 기색을 감추지 못했다. 건설사들은 대손충당금을 일단 안정적으로 쌓는 등 정부 방침에 보조를 맞출 계획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정부에서 말하는 기준에 따라 대손충당금을 쌓고 회계처리를 하겠지만 사실 가이드라인이나 지침이 명확하지 않아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아파트 분양이 잘 안 될 때는 가지고 있다가 경기가 풀리면 완전 털어버리는 경우도 많다고 주장한다. 이 관계자는 “수주의 경우 정상적인 공사 작업에 들어가 봐야 알 수 있고 설계 변경 사항이 발생하면 발주사와 협의해 금액이 추가되기도 하는 데 매번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회계에 반영해야 하는 건지 난감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임원급 관계자는 “정부가 지나치게 까다로운 잣대를 들이대는 측면이 있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서는 현대건설, GS건설, 대림산업, 현대엔지니어링, 삼성물산 등에 대해 형평성 차원의 감리 조사가 진행될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9-24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