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혁신센터 현장을 가다] <15>세종혁신센터

[창조경제혁신센터 현장을 가다] <15>세종혁신센터

이천열 기자
이천열 기자
입력 2015-09-21 00:02
업데이트 2015-09-21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업과 첨단 과학의 만남… ‘스마트팜’으로 농민 삶의 질 혁신

지난 9일 오전 11시쯤 세종시 연동면에 진입하자 드넓은 들판이 펼쳐졌다. 비닐하우스가 줄지어 있고, 비닐들이 따가운 햇볕을 받아 은색 빛을 쏘아댔다. 하우스 안에는 딸기, 수박, 오이 등 갖가지 과일과 채소들이 자라고 있었다. 겉으로는 여느 비닐하우스와 별반 다르지 않다. 안으로 들어가자 환풍기 등과 연결된 센서가 보였다. 손바닥만한 이게 스마트폰과 통신하며 하우스의 환기와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한다. 먼 곳에서도 스마트폰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획기적 시스템이다. 이른바 ‘스마트팜’이다. 연동면 100여 농가가 이처럼 농사를 짓는다. 송용리에서 3300여㎡의 하우스 딸기를 재배 중인 장걸순(53)씨는 “농촌 주민 대부분을 차지하는 노인들이 스마트폰을 잘 다루지 못해 어려움을 겪지만 여행 등으로 집을 떠날 때도 걱정하지 않아 좋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세종시 연동면 송용리에서 하우스 딸기를 재배하는 장걸순씨가 스마트폰으로 먼 거리에서 비닐하우스의 내부 환기와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팜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세종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세종시 연동면 송용리에서 하우스 딸기를 재배하는 장걸순씨가 스마트폰으로 먼 거리에서 비닐하우스의 내부 환기와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팜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세종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이미지 확대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심사위원들이 지난 9일 2015 미래농업ICT·IoT 벤처창업 및 아이디어 공모전 심사를 하고 있다. 세종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심사위원들이 지난 9일 2015 미래농업ICT·IoT 벤처창업 및 아이디어 공모전 심사를 하고 있다.
세종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이날 연동면을 벗어나 조치원읍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로 들어서자 ‘농업과 과학이 만나는’이란 간판이 눈에 들어왔다. 이 혁신센터가 지향하는 목표를 금세 알 수 있었다. 강현춘 혁신센터 창조마을사업팀장은 “하우스 안에서 먹고 자는 농민이 많은데, 스마트팜은 이들에게 문화생활을 즐기게 하고 투잡도 할 수 있는 여유를 줄 수 있는 첨단 시스템”이라고 소개했다. 혁신센터는 세종시교육청의 옛 건물 1~2층을 사용하고 있다.

이 혁신센터는 지능형 영상보안 폐쇄회로(CC)TV도 운영한다. 연동면 스마트팜에 50대를 설치했다. 농산물과 농기계 도난사고를 막는 ‘농장 지킴이’다. 센터는 또 로컬푸드를 이끌고 있다. 자신이 생산한 농산물을 가게에 진열하면 팔릴 때마다 스마트폰으로 알 수 있어 더 공급해야 할지 말지를 가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농민은 중간 상인을 거치지 않아 더 많은 이득을 남길 수 있고, 소비자는 싱싱한 농산물을 값싸게 살 수 있다.

제1호 로컬푸드점이 19일 도담동에서 ‘도담도담점’이란 명패를 달고 문을 연다. 이 가게에는 세종시 170여 농가가 참여하고 있다. 가게 직원은 10명이고, 판매금의 10%를 떼 월급을 준다. 내년에 가게 하나가 더 생긴다.

이날 센터 회의실에서는 공모전 심사가 온종일 열렸다. 센터가 지난 6월 말 출범한 뒤 처음 개최한 공모전이다. 72개 아이디어 중 치열한 예선을 통과한 16개가 최종 선정을 놓고 겨뤘다. 심사위원 5명이 ‘생육기간을 진짜 열 배나 단축할 수 있느냐’, ‘실제로 밭에서 재배해본 것이냐’ 등의 질문을 쉴 새 없이 던졌다. 아이디어 제안자는 쩔쩔맸다. 심사위원장 조규표 세종시 농업정책과장은 “참신한 스마트팜 아이디어가 많았지만 사업성 등이 핵심”이라며 “사업화가 가능하면 혁신센터에 입주해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1층에 마련된 개념 전시관을 방문객들이 견학하고 있다.  세종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1층에 마련된 개념 전시관을 방문객들이 견학하고 있다.
세종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센터 앞마당에 나무로 지은 집 ‘박스스쿨’에서는 10여명의 유치원생들이 큼지막한 스마트폰으로 키 20㎝쯤 되는 로봇을 조종하고 있었다. KAIST 교수가 아이들의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주려고 개발한 첨단 교육 프로그램이다. 김연주(6)양은 “귀여운 ‘알버트’ 로봇을 내 맘대로 움직일 수 있어 참 재밌다”면서 까르르 웃었다.

오후 3시쯤 베트남 공무원 8명이 혁신센터를 견학했다. 이들은 모니터로 혁신센터 안내 동영상을 본 뒤 1층에 있는 가로 30m, 세로 10m 크기의 ‘창조마을관’을 둘러봤다. 꾸옥타인(48) 베트남 농업과학원 농업지도센터 소장은 “스마트팜은 처음 접했다”며 “한국 농업이 베트남보다 50년은 앞서는 것 같다”고 부러워했다.

센터는 17개 마을회관에 태양광을 설치해 에너지 자립마을로 만들고, 11월까지 연동면에 두레농장을 만들어 스마트팜 사업을 맘껏 실험하게 할 계획이다.

최길성 센터장은 “미래 첨단농업을 개발한 뒤 국내외로 확산시켜 농민의 행복한 삶을 이끄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세종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5-09-21 16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