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금융위기 이후 물가보다 고용 중시”

“美연준, 금융위기 이후 물가보다 고용 중시”

입력 2015-06-01 13:40
업데이트 2015-06-01 13: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을 결정짓는 준칙(rule)이 인플레이션에서 고용이나 경기변동으로 옮겨갔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진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1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와 금융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한국금융연구원·한미경제학회·한미재무학회가 공동주최한 심포지엄에 첫 주제발표자로 참석해 이처럼 말했다.

김 교수는 미 연준에서 이코노미스트로 일했으며, 현재 연준의 자문관으로 있다.

김 교수는 ‘제로금리 상황에서의 통화정책 규준 준칙’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미국의 정책금리 변동에 대한 시장의 전망치와 실제 정책금리 및 실업률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해 연준의 통화정책 준칙이 달라졌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연준의 반응도는 낮아진 반면 실업률에 대해서는 위기 전후 모두 강한 반응도를 나타냈다”며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에 더해 연준이 경기순환 주기에도 반응한다는 증거를 찾아냈다”고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반응도가 낮아졌다는 것은 향후 연준이 인플레이션과 싸우게 될 어려운 시기의 전조가 될 수 있다”며 “그게 아니라면 연준의 완화적인 ‘선제 안내’(포워드 가이던스)가 성공했음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일리노이대학-어버나 샴페인의 박웅용 교수는 ‘미국의 양적완화가 신흥국에 미친 영향’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미국의 양적완화는 신흥국 경제의 금융지표에 단기적일지라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박 교수는 ‘5대 취약통화’(브라질, 인도네시아, 인도,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를 비롯한 신흥국에서 환율 절상과 장기채 수익률 하락, 주가상승 등을 가져왔다고 분석했다.

박 교수는 다만 “5대 취약통화국을 중심으로 자본유입과 순수출 감소가 나타났지만 그 외 신흥국에서는 생산이나 소비자물가와 같은 거시지표에 대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