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부품업체들 이익 급증…삼성 하청업체들은 ‘울상’

애플 부품업체들 이익 급증…삼성 하청업체들은 ‘울상’

입력 2015-05-18 10:41
업데이트 2015-05-18 1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이폰의 인기 덕분에 애플에 부품을 공급하는 한국과 일본, 대만업체들도 혜택을 보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반면에 삼성 하청 업체들은 실적이 저조하다.

올해 1분기 애플의 아이폰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늘었다. 아이폰의 판매 호조 속에 애플의 1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1년 전과 비교해 각각 27.2%, 33.3% 증가했다.

애플의 실적 호조에 부품업체들의 이익도 덩달아 급증했다.

일본의 전자부품 업체 무라타와 대만 스마트폰 렌즈업체인 라간의 1분기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각각 116%, 61% 증가했다.

전자제품 위탁제조업체인 대만 훙하이(팍스콘)의 이익도 56% 올랐다. 혼하이는 실적 호조 덕분에 지난해 배당을 주당 3.80대만달러로 배 이상 늘렸다.

아이폰에 액정을 공급하는 LG디스플레이의 실적은 1년 전보다 8배가량 늘어났다.

반면 삼성전자에 부품을 공급하는 업체들의 실적은 저조했다.

터치스크린 제조업체 일진디스플레이와 카메라 모듈업체 파트론의 영업이익은 각각 62%, 51% 줄었다.

맥쿼리의 김 대니얼 연구원은 “지난해 삼성 스마트폰 실적의 충격이 (부품업체들에) ‘모닝콜’을 울렸다”며 “삼성 부품업체들은 (판로) 다변화를 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과는 달리 애플 부품업체들은 ‘아이폰 효과’의 과실을 따 먹었지만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러 실적 전망은 불투명하다.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둔화로 부품업체 간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IT 전문 시장조사업체 IDC는 스마트폰 최대 시장으로 떠오른 중국의 1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4.3% 감소했으며 이는 최근 6년간 처음 있는 일이라고 전했다.

중국 부품업체의 성장도 애플과 삼성전자 등에 부품을 대는 한국과 일본, 대만 업체들의 고민거리다.

CLSA의 니콜라스 바라테 연구원은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이 자국 공급업체를 선호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