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 농업·관광·웰빙산업 패러다임 바뀐다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 농업·관광·웰빙산업 패러다임 바뀐다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5-05-11 23:42
업데이트 2015-05-12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품종 개발서 유통까지 빅데이터 활용

‘데이터 농업’의 시대가 열린다.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강원도의 전략산업 중 하나인 ‘농업’의 패러다임을 바꾼다. 농부의 노하우에 의존하는 기존의 경험 기반 농업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밀과학농업을 실현하겠다는 얘기다. 세계 농업 수출 1~2위 국가인 미국과 네덜란드에서는 이미 10년 전부터 적용해 온 개념이다.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는 11일 “국내는 기존 농장 시설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주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스마트팜 1.0’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농업의 전 단계에서 ICT를 활용해 유용한 데이터를 축적 선별해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팜 2.0’ 시대를 연다면 우리 농업의 경쟁력은 한층 더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팜 1.0은 기존의 원예 시설인 비닐하우스나 유리 온실에 온도, 습도 센서나 자동문 개폐기 등을 설치하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해 이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 기술이 핵심이다. 반면 스마트팜 2.0은 파종부터 생산, 관리, 수확, 가공, 공업제품화, 유통 서비스 등 농업의 가치사슬 전 단계에서 유의미한 데이터를 획득해 또 다른 사업의 기회로 연결시킬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작물 생육 데이터, 온·습도 등 재배 환경 데이터, 유전자원 정보 등을 수집 분석해 스마트팜에 최적화된 품종을 개발하는 종자 기업이나 신의약 신제품 개발을 위한 소재를 찾는 기업들에 연결해 주는 식이다. 이런 역할은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가 맡는다. 농가 빅데이터 획득 분석 기술은 카이스트 강릉 분원에서 개발하기로 했다.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농업과 더불어 ‘관광’, ‘웰빙’ 비즈니스에도 힘을 보탠다.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관광객의 방문 빈도와 기간 등을 분석해 창업 지역이나 업종을 추천하는 관광인텔리전스 서비스를 개발하고, 일반 시민들의 아이디어를 공모해 기존 관광 콘텐츠에 스토리를 접목한 큐레이션앱 제작을 지원하는 식의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관광 거점을 벨트화하는 창조원정대도 운영한다.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제작에 필요한 빅데이터 수집 플랫폼도 개발한다.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이 플랫폼을 바탕으로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와 함께 다양한 기능을 갖춘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사업자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5-12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