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카드사용액 6.3% 증가…소비개선 효과 ‘아직’

1∼2월 카드사용액 6.3% 증가…소비개선 효과 ‘아직’

입력 2015-04-08 07:24
업데이트 2015-04-08 07: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체크카드 승인액 비중 20.6%…소득공제 효과에 역대 최고

정부의 소비 활성화 노력에도 카드 사용액은 아직 크게 늘지 않고 있다.

여신금융협회는 올해 2월 카드 승인금액이 45조6천6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41조4천800억원)보다 10.1% 늘었다고 8일 밝혔다.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인 것은 2012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그러나 설 연휴 효과를 제거하고자 1∼2월을 통합(94조800억원)해 비교하면 작년 같은 기간보다 6.3%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지난해 1∼2월의 증가율(5.8%)에 비해 0.5%포인트만 상승한 것이다.

여신금융협회는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 조기집행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등 정부의 집중적인 소비 활성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민간 소비가 본격적으로 개선되기까지는 시차가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아울러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나, 민간 소비 동향을 반영하는 올해 1∼2월 소매판매액지수 평균치는 111.75로 전년 동기(112.4)보다 0.6%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체크카드와 소액결제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는 계속됐다.

높은 소득공제율과 다양한 체크카드 상품이 개발되면서 2월 체크카드 승인금액 비중은 20.6%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2월의 전체 카드 승인건수는 19억2천700만 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억3천80만 건(14.1%) 증가했다.

승인 금액의 증가율(6.3%)보다 건수 증가율(14.1%)이 7.8%포인트 높아, 카드의 소액결제화 추세가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여신금융협회는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판매업종 가운데서도 수입자동차의 카드 승인액이 13.0%의 가파른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저유가로 유류할증료가 인하되고 원화가 강세를 보인 영향을 받아 항공사(-4.2%)와 면세점(-7.4%)의 카드 승인금액은 모두 줄었다.

1∼2월 유통업종의 카드승인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1% 늘었고, 특히 생필품을 판매하는 슈퍼마켓업종의 승인액이 가장 큰 폭(5천억원)으로 증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