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생활비, 소득 유형에 따라 준비해야”

“퇴직 후 생활비, 소득 유형에 따라 준비해야”

입력 2014-08-13 00:00
업데이트 2014-08-13 11: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후 자금 마련의 ‘4대 유형’에 따라 은퇴 준비 요령을 달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13일 발간한 ‘은퇴와투자 38호’에서 은퇴 생활비 마련 방법을 ‘연금겸업형’, ‘평생현역형’. ‘공적연금형’, ‘자산소득형’의 4가지로 분류했다.

’연금겸업형’은 일과 연금을 모두 활용해 노후 자금을 마련해야 하는 대다수 직장인에 해당되며, 이 경우 가장 주의해야 하는 것은 은퇴 후 연금 수령 시까지의 소득공백기다.

연구소는 “가능한 한 직장 수명을 늘려 노후자금의 소진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전문직·고소득 자영업자가 해당하는 ‘평생현역형’은 질병과 사고로 소득이 단절되면 낭패를 보는 만큼 보장성 보험을 준비해 두면 좋다.

’공적연금형’은 공무원과 맞벌이 부부 등이다.

만약 연금 수령 요건인 근속기간 20년을 채우지 못한다면 공무원연금 등 3대 직역연금과 국민연금을 연계한 가입 기간 20년 이상 시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공적연금 연계제도를 활용하면 된다고 연구소는 지적했다.

’자산소득형’은 부동산 임대나 금융자산의 이자와 배당으로 노후생활비 충당이 가능한 유형이므로 세금 문제를 꼼꼼하게 챙기면 좋다.

김경록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소장은 “40대는 은퇴까지 남은 기간이 길기 때문에 노후생활비를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미래의 생활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