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결제시장 잡아라”

“모바일 결제시장 잡아라”

입력 2014-08-05 00:00
업데이트 2014-08-05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드사에 이통사·카카오 가세…올 2분기 거래액 3조 1930억

현금 없이도 간편하게 소액 결제가 가능한 모바일 결제시장을 둘러싼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금융사 간 경쟁에서 이제는 이동통신사에 카카오까지 가세하면서 ‘이종(異種) 혈투’로 흐르는 양상이다. 선택권이 넓어진 고객들은 비교 사냥이 가능해졌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 2분기 휴대전화를 이용한 모바일 거래액은 3조 1930억원이다. 이 기간 온라인 쇼핑 거래액(10조 5830억원)의 30%다. 아직 3분의 1에 그친다고 여길 수도 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모바일 거래액이 두 배 넘게(136.9%) 급증한 점에 눈 돌리면 얘기가 달라진다. 모바일 결제시장의 몸값이 치솟은 이유다.

맨 먼저 뛰어든 카드사들은 기존 전자지갑(스마트 월렛)의 성능과 서비스를 대폭 개선하며 시장 선점에 공들이고 있다. 신한카드는 스탬프(도장) 서비스 등을 얹은 ‘올댓쇼핑&월렛’을 최근 내놨다. 커피숍이나 편의점, 영화관 등 생활밀착형 업종별로 방문 때마다 스탬프를 내려받고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쿠폰이나 포인트를 주는 서비스다. 삼성카드는 전자지갑에 모바일카드를 얹어 온·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한 ‘m포켓’을 강화했다. 휴대전화를 잃어버리면 원격제어로 앱 실행을 중단시키는 기능도 있다. KB국민카드의 ‘와이즈 월렛’, 롯데카드의 ‘클러치’, 비씨카드의 ‘모비박스’ 등도 계속 진화 중이다.

이통사들은 스마트폰에서 자사 전자지갑만 내려받으면 된다는 간편함을 앞세워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SKT의 ‘스마트 월렛’, KT의 ‘모카’ 등은 한 달에 30만원까지 소액 결제가 가능한 것은 기본이고, 각종 멤버십 할인 혜택과 쿠폰 등을 준다. 국내 최대 모바일 메신저 업체인 카카오도 은행들과 손잡고 다음달부터 소액 결제 서비스를 개시한다. 중국의 온라인 결제대행업체인 알리페이도 한국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8-05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