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담배·머금는 담배 등 건강증진부담금 대상 명시

물담배·머금는 담배 등 건강증진부담금 대상 명시

입력 2014-07-22 00:00
업데이트 2014-07-22 10: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존 담배류 뿐 아니라 신종 물 담배와 머금는 담배에까지 국민건강증진부담금을 물릴 수 있는 뚜렷한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보건복지부는 22일 국무회의에서 국민건강증진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개정안에 신설된 ‘제27조 2’는 건강증진부담금 부과 대상으로서 궐련·전자담배·파이프담배·엽궐련·각련·씹는 담배·냄새맡는 담배·물 담배·머금는 담배 등 9가지 종류의 담배를 열거하고, 각 담배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사실상 지금까지 시행령에 담배 구분 조항이 없는 상태에서도 이들 담배에 대한 건강증진부담금 부과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담배소비세 등의 부과 대상 담배를 정의한 지방세법 조항을 그대로 준용해왔기 때문이다. 더구나 지방세법의 경우 지난 4월 개정을 통해 가장 최근 등장한 물 담배와 머금는 담배까지 세금 부과 대상으로 명시해 놓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금도 9가지 종류 담배에 모두 건강증진부담금 부과가 가능하지만, 더 이상 지방세법을 준용하지 않고 건강증진법 자체 조항으로서 건강증진부담금 대상을 보다 명확하게 구분·정의하자는 것”이라고 개정 취지를 설명했다.

이번 개정령에는 또 금연구역 내 흡연을 감시·계도할 ‘금연지도원’ 제도 운영에 필요한 사항들도 포함됐다. 이에 따르면 금연지도원은 비영리 법인·단체가 추천한 사람, 건강·금연 등 보건정책 업무 경력이 3개월이상인 사람이나 이에 준하는 경력을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으로부터 인정받은 사람이 맡을 수 있다.

금연지도원의 직무는 ▲ 금연구역 시설기준 이행 확인 지원 ▲ 금연구역 내 흡연행위 감시 ▲ 흡연행위 촬영 등 위반행위 증거 수집 및 위반자 인적사항 확인 등으로 규정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