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카드업계, 여신금융협회 불신 왜

[경제 블로그] 카드업계, 여신금융협회 불신 왜

입력 2014-07-09 00:00
업데이트 2014-07-09 0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C 단말기 교체 관련사업 논의 “회원사 권익보다 수익만 관심” 협회 “아직 확정된 것 없다”

최근 여신금융협회를 바라보는 카드업계의 시선이 곱지 않습니다. 각 카드사가 회원사인 여신금융협회의 기능과 역할을 고려할 때 카드사와 협회의 관계는 밀접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견고할 것만 같던 이 ‘공생 관계’에 균열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비영리단체인 협회가 부대사업에 관심을 보이면서 갈등이 표출되고 있습니다.

사건의 발단은 이렇습니다. 금융 당국이 추진 중인 집적회로(IC)카드 단말기 교체사업과 관련해 밴(VAN) 사업자 선정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한창입니다. 협회는 카드사들이 함께 출자해 공동 밴사를 설립하거나 기존 밴사를 인수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협회 산하기관으로 두고 운영 역시 협회가 맡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되면 통제가 어려운 기존 밴사들 대신 공동 밴사를 통해 밴 수수료를 합리화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카드사는 “협회가 카드사들의 권익보다는 부대수익을 위해 공동 밴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공동 밴사가 ‘관피아’(관료+마피아)나 협회 퇴직 임원을 위한 또 다른 낙하산 창구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 협회는 “여러 사안 중 하나로 검토 중이며 확정된 것은 없다”면서 “공동 밴사를 세워도 모든 수익은 카드사들에 돌아간다”고 강조했습니다.

협회에 대한 불신은 이두형 전 여신금융협회장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협회는 3대부터 8대 회장까지는 회원사 대표가 돌아가며 맡는 비상근이었습니다. 그러다 2010년 상근 체제로 바뀌면서 이 전 회장과 김근수 회장이 차례로 회장이 됐습니다. 카드사들은 관(官) 출신 회장들이 업계 입장을 당국에 제대로 전달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일례로 IC카드 단말기 시범사업을 위한 기금 1000억원 조성도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가맹점과 밴사의 공동 부담을 강조했던 카드사들의 입장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결국 금융 당국의 압박과 시간에 쫓겨 8개 전업계 카드사만 분담금 조성에 참여합니다. 최근 카드사와 캐피털사가 복잡하게 얽힌 복합할부금융 폐지 논란에서도 협회의 조정 역할이 미흡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와중에 협회가 수익사업에 눈을 돌리니 업계가 불만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협회가 공동 밴사 설립의 타당성을 떠나 회원사들의 불신을 풀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4-07-09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